전공의·의대생 복귀가 급선무 의료계 지지 다시 얻는 과정이 중요 "의정 사태, 원점에서 사과하고 6개월 이내 신속 해결"
  • ▲ 이동욱 김문수 대선후보 캠프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정책총괄본부 의료정책위원장(경기도의사회장)
    ▲ 이동욱 김문수 대선후보 캠프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정책총괄본부 의료정책위원장(경기도의사회장)
    "의정 사태의 신속한 해결이 핵심이다. 전공의와 의대생이 돌아오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 캠프에서 의료정책을 총괄하는 이동욱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정책총괄본부 의료정책위원장(경기도의사회장)이 뉴데일리를 통해 윤석열 정부의 의료 정책과 관련 공식 사과를 이끌어낸 배경과 향후 의료정책 정상화의 로드맵을 23일 밝혔다. 

    이동욱 위원장은 이번 선거에서 의료계의 신뢰 회복이 주요 승부처가 될 것이라는 판단 아래 대한의사협회(의협) 등과의 관계 복원에 전면에 나선 핵심 인물이다.

    이 위원장은 "김문수 후보가 직접 의협을 찾아 사과한 것은 단순한 방문이 아닌 정치적 전환점"이라며 "의료계의 민심이탈은 명백한 정책 실패에서 비롯된 것으로, 원점에서 재검토해 신속히 풀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김 후보께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국가 의료의 총체적 위기 상황에 대해 의료정책위원장으로서 여러 충언을 드렸다"고 전하며 구체적 정책 논의 내용도 공개했다.

    ◆ "전공의·의대생 복귀가 최우선" … 대통령 직속 위원회 추진

    이 위원장은 "김 후보가 당선되면 대통령 직속으로 미래의료위원회(가칭)를 구성해 6개월도 길다 싶은 의료정책 문제를 즉각 수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공의와 의대생이 방황과 고통 속에서 벗어나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며, 국민 건강권 수호를 위한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정책 실패로 붕괴된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를 복원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며, “젊은 의사들이 지방과 필수 영역에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진료를 이어갈 수 있도록 환경을 설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포퓰리즘 정책이 아닌, 전문가 중심의 실질적 복원을 지향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 "공공의대는 의료 골품제" … 국민 기만적 정책 비판

    공공의대에 대한 입장도 더욱 선명해졌다. 이 위원장은 "민주당의 공공의대 및 지역의대 공약은 단순한 의대증원 문제가 아니라 특정 세력이 주도권을 쥐고 차별 진료와 부실 진료를 고착화하는 의료 골품제다. 기만적 제도"라고 규정했다.

    그는 "이재명 후보 본인조차 생명이 위태로울 때 자신이 만든 성남의료원이 아닌 서울대병원을 이용한 사실에서 말과 행동의 불일치가 극명히 드러났다"며 "부산 헬기 이송 사건은 민주당 공공의료 정책의 허구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 의료계 반감 인사 교체 예고 … "박민수 차관 반드시 교체"

    이 위원장은 현 의료 정책 실패의 책임자에 대한 인사 쇄신도 강하게 주문했다. "의료계와 갈등의 중심에 있는 박민수 복지부 2차관 등은 반드시 교체해야 한다"는 그는 "이 후보에게 해당 사실을 건의했고 충분히 공감을 나눴다"고 했다.

    그는 "국민을 두 번 죽이는 쇼도, 기만술도 없다. 김문수 후보는 의료정책을 진정성 있게 바로잡으려는 후보"라며 "보건의료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선명한 입장을 가지고 실질적 정상화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 "의협과의 조율 주도" … 상징적 사과 이끌어낸 중심축

    일각에서는 이동욱 위원장이 김 후보와 의협의 관계 조율을 주도한 실질적 중재자라는 평가도 나온다. 그는 “김 후보의 의협 방문과 사과도 직접 조율한 결과"라며 "현장 중심의 신뢰 회복과 의료계 민심 회복이 가장 중요한 시기다. 등 돌린 표심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지금 중요한 것은 이름도, 위원회 형식도 아니다. 의료계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진정성, 그리고 빠른 결과"라며 "의료계가 다시 마음을 열 수 있도록 모든 방법을 동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