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기본사회 공약에 경제학자들 비판 확산李 "아동수당, 농어촌 기본소득, 청년적금 등 확대" 조동준 교수 "모텔로 발전기 돌리겠다는 논리"박정수 대학장 "근로의욕 떨어뜨리고 성장 저해"
  • ▲ 인천 지역에서 유세를 이어가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오전 인천 계양구 계양역 앞에서 열린 유세현장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인천=서성진 기자)
    ▲ 인천 지역에서 유세를 이어가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오전 인천 계양구 계양역 앞에서 열린 유세현장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인천=서성진 기자)
    "물로 포도주를 만든다는 것과 뭐가 다른가. 대국민 사기극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내놓은 '기본사회' 공약을 두고 한 경제학과 교수는 이렇게 평가했다. 이 후보가 주장하는 '기본사회'는 한마디로 '국가가 국민의 기본적인 삶을 책임지겠다'는 것이다.

    이 후보는 21일 "국민의 기본적인 삶은 국가 공동체가 책임지는 사회, 기본사회로 나아가겠다"며 아동수당 지급 대상, 농어촌 기본소득, 청년적금, 고용보험, 지역화폐 등 확대를 공약했다. 그런데 천문학적인 비용을 어떻게 마련하겠다는 것인지에 대해 이 후보는 한마디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두고 국내의 권위 있는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이 후보의 기본사회는 현실적으로 실현이 불가능하다", "북한식 사회주의와 뭐가 다르냐"는 비판이 확산하고 있다.

    ◆ "기본사회는 대국민 사기극 … 세상은 넓고 속일 놈은 많다는 것"

    조동준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23일 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이 후보의 기본사회 공약에 대해 "약간 험한 얘기가 될지 모르지만, 그냥 사기극"이라고 단언했다. 

    조 교수는 옥스포드대 교수였던 윌리엄 비버리지가 1942년 '요람에서 무덤까지(비버리지 보고서)'를 내세우며 복지국가를 강조했다가 실패한 사례를 언급하며 "이 후보도 전 생애에 걸쳐 기본사회를 주장하는데 경제라는 건 재원이 있냐 없냐"라며 "재원은 어디서 나오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기본사회로 넘어오면은 결국은 돈을 갖다 준다는 건데 1인당 한 달에 10만원을 주겠다는 것은 아닐테고 50만원씩 준다고 가정하면 3인 가구면 월 150만원, 4인 가구엔 200만원을 줘야 줘야 된다"며 "그 돈을 어떻게 마련하냐"고 했다.

    이 후보는 지난 대선에서 '기본소득'을 통해 1인당 월 10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했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아동 수당→청년 적금→노인 기초 연금으로 이어지는 '생애 주기별' 수당을 지급하는 것으로 조정했다. 재원 마련에 대한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2025년 우리나라의 인구는 5117만명으로, 1인당 50만원씩 지급하면 매년 약 25조5800억원, 100만원씩 지급하면 51조원 넘게 필요하다. 여기에 아동수당 지급 대상, 농어촌 기본소득, 고용보험, 지역화폐 등 확대 정책을 시행할 경우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은 이달 초 만 8세 미만 아동에게 월 10만원씩 제공되는 아동 수당 지급 대상을 만 18세 미만까지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는데, 국회예산정책처는 18세 미만까지 매월 아동 수당 10만원을 지급하면 2026~2030년 5년간 35조5000억원(연평균 7조1000억원)이 들어간다고 추산했다. 이 후보의 노인 기초 연금 관련 공약은 부부가 동시에 연금을 받을 경우 각각 20%씩 감액하는 '부부 감액'을 단계적으로 줄이겠다는 것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부부 감액 제도 폐지 시 2025~2029년 총 15조2000억원, 연평균 3조원의 추가 재정 소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대해 조 교수는 "물로 포도주를 만든다는 것과 뭐가 다른가. 국가가 다 책임진다는건 북한식 사회주의"라며 "국가의 책임을 무한대로 늘린 나라들이 성공했나. 다 실패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의 기본사회라는 것은 대국민 사기극이다. 발전기로 모텔을 돌리고, 그 모텔로 발전기를 돌리면 된다는 논리"라며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라는 말을 남겼다. 이 후보는 '세상은 넓고 속일 놈은 많다' 그거 아니냐"고 지적했다.

    ◆ "나라 주머니 생각 안하고 나눠준다는 것은 무책임"

    박정수 서강대 경제대학장도 이 후보의 기본사회 공약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다 좋은데, 재원이 어디 있을까요?"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박 대학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이 후보는 그냥 재정을 투입해서 한다고 그랬는데, 그러면 세금이 없이 재정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은 국채를 늘리는 것"이라며 "지금 우리나라 국가 채무가 엄청나고, 기축통화국도 아니기 때문에 더욱 신경을 써야하는 상황인데 주머니 사정 생각 안하고 나눠준다는 것은 무책임한 것 아니냐"고 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4월 재정점검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올해 예상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 비율은 54.5%다. 이는 11개 비기축통화국가의 평균(54.3%)을 넘는 수치다. 특히 우리나라의 부채 비율은 향후 5년간 4.7%p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체코(6.1%p) 다음으로 빠르다.

    박 대학장은 "우리 사회가 성장을 하려면 근로 의욕을 촉진시켜야 하는데 국가가 돈을 나눠준다고 하면 누가 일을 하려고 하겠냐"며 "기본사회는 근로 의욕을 떨어뜨리고 기업 투자를 위축시켜 결국 국가 성장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돈을 주더라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하는데 재원 마련 방안도 없이 그냥 나눠주겠다는 얘기는 누가 못하겠냐"며 "기본사회라는 것은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공약이다. 국민들도 내 삶이라고 생각하고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