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에 금융권 압박 강화 및 포용금융 확대 전망국내 550만 자영업자 대상 새출발기금 누적 신청액 20.3조원
  •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취임선서식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취임선서식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제21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금융권을 둘러싼 ‘포용금융’ 압박이 한층 거세질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부터 소상공인 채무조정 지원을 강조해왔으며, 2023년에는 초과이익에 대한 환수세인 '횡재세' 도입을 추진하는 등 은행권에 지속적으로 비판의 목소리를 내왔다. 새 정부가 본격 출범하면서 포용금융 정책으로 인한 은행권의 부담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명 당선인 ‘소상공인’ 포용금융 강조 … 폐업·대출 모두 늘어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소상공인, 취약계층 등 대상 금융지원 확대를 약속하며, 이들에 대한 채무 탕감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다. 

    이재명 당선인이 10대 공약 가운데 가장 강조한 금융 관련 공약은 가계 및 소상공인 대상 금융지원 확대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침체로 정책자금 대출 받은 소상공인 대상 채무조정부터 탕감에 이르는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나이스(NICE)평가정보에 따르면 정책금융 대출을 이용한 자영업자 비율은 2019년 2.2%에서 지난 2월 기준 19.7%로 급증했다. 올해 1월 국내 자영업자 수는 550만명으로 지난해 11월 대비 20만6000명 감소했다.

    자영업자 은행연체율은 8년 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통계를 볼 때 소상공인 100만 폐업 시대도 확실해 보인다. 지난 2020년 코로나 팬데믹부터 지난해 비상계엄까지 자영업자 종사자는 약 550만명에 달한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따르면 위기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채무 조정 프로그램인 '새출발 기금' 신청자는 지난달 기준으로 12만5738명, 채무액은 20조3173억원으로 집계됐다. 새 정부 출범 후 550만명에 대한 채무 조정 및 탕감을 최소 20조원 규모의 정책 지원을 해야 한다. 

    은행권은 지난해 사회공헌 활동 사업에 1조8934억원의 자금을 썼으며, 이는 전년 대비 15.8%(2585억원) 늘었다. 4년 사이 약 8000억원을 늘리는 등 지역사회 및 공익사업을 대폭 지원했다.

    반면 각종 대출 연체율이 오르면서 은행권의 건전성은 악화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은행권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0.53%로, 전년 동기 대비 0.1%포인트 올랐다. 
  • ▲ 지난 1월20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더불어민주당-은행권 현장간담회'에 앞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등 은행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정상윤 기자
    ▲ 지난 1월20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더불어민주당-은행권 현장간담회'에 앞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등 은행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정상윤 기자
    ◇횡재세 도입 및 당 대표 시절 당시 시중은행장들 소집 논란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은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인 지난 2023년 횡재세 도입을 추진하는 등 은행에 고통 분담을 요구했다.

    그는 2023년 11월 당시 "유가 상승, 그리고 고금리 때문에 정유사와 은행들이 사상 최고의 수익을 거두고 있으며, 은행은 60조원이 초과 될 것이라고 한다"며 "그 자체를 뭐라고 할 수 없지만, 민생 고통을 분담할 수 있도록 횡재세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당선인은 지난 1월 더불어민주당 대표 신분으로 6대 시중 은행장을 한 자리에 불러 모아 논란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었다.

    그는 이날 시중은행장들에 “금융기관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지원 업무로 서민과 소상공인들의 희망이 되도록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은행권의 소상공인 금융지원 이행 상황을 점검했다. 

    당시 업계에서는 정치권에서 시중은행장들을 소집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이같이 직접 시중은행장들을 호출한 것이 이례적이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들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해도 ‘이자장사’ 비판 등으로 발표하는 것을 부담스러워 한다”며 “앞으로 금융 정책에도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상생금융의 취지는 좋지만 은행들의 특수성을 고려해 다양한 방식으로 추진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