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관련 산업 약 45억 달러 규모 투자 취소"국내도 태양광·전기차 IRA 축소 촉각 … 대응 고심
-
- ▲ ⓒ연합뉴스
미국 내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축소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국내 관련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기차 구매 시 제공되던 세액공제도 조기 종료될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국내 태양광·자동차 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응 방안을 고민 중이다.19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원 재무위원회는 태양광·풍력 에너지 세액공제를 오는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내용의 세법 개정안을 공개했다. 올해 착공에 들어가는 프로젝트에 한해서만 기존 100% 세액공제가 유지되며, 내년부터는 60%로 축소되고 2028년부터는 전면 폐지된다. 이는 지난달 하원을 통과한 법안에 담긴 2029년보다 폐지 시점이 1년 더 앞당겨진 것이다.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이 추진하는 ‘크고 아름다운 하나의 법(OBBBA·One Big Beautiful Bill Act)’에는 IRA 기반 클린에너지 세액공제 조기 종료와 상업용 전기차 세액공제 철회 등이 포함됐다.문제는 미국 내 청정에너지 정책의 불확실성이 점차 커지면서면서 사업이 위축될 수 있다는 점이다.국내에서는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은 미국 조지아주 카터스빌(모듈 3.3GW)과 달튼(모듈 5.1GW) 공장 등 총 2곳을 가동 중이다. 같은 카터스빌 부지 내 잉곳·웨이퍼·셀 생산라인(각 3.3GW)은 연내 완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 중이다. OCI홀딩스도 내년 상반기 목표로 텍사스에 태양광 셀 공장을 짓고 있다.코트라 '미국 클린 에너지 투자 환경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을 선포하며 대규모 관세 부과를 발표한 지난 4월 한 달에만 약 45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취소됐다. 취소된 투자 프로젝트 상당수는 배터리, 전기차, 풍력 등 클린 에너지 분야로, 이전 행정부에서 대규모 세금 혜택을 약속했던 영역이다. 투자와 일자리가 미국이 아닌 다른 국가로 옮겨갈 가능성도 제기된다.국내 기업들도 현지 상황을 주의 깊게 지켜보며 대응 전략을 논의 중이다.한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OBBBA 상원 표결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며 “단기적 정책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현지 파트너십 확대와 기술 경쟁력 강화 전략을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AMPC(첨단제조세액공제)의 경우 현재 하원 통과안과 상원 초안 간 큰 차이는 없고, ITC(투자세액공제)의 경우 변동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며 "향후 추가 수정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계속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ITC는 이번 상원 개정안에서 폐지 시점을 2033년에서 2028년으로 5년 당겨졌다. 세액공제율도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축소돼 2026년까지는 60%, 2027년에는 20%만 적용되며, 2028년부터는 전면 폐지될 예정이다. AMPC는 하원 통과안에는 종료 시점이 종전 2032년 말에서 2031년 말로 1년 앞당겨졌지만 상원안에 2032년 말 종료로 유지된다.다만 ITC 축소 관련 확대 해석은 경계하고 있다. OCI홀딩스 관계자는 "AMPC 세액공제 혜택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다행”이라며 “ITC 는 태양광 프로젝트 디벨로퍼로 주로 보유하고 있는 20여개(총 5.5GW) 파이프라인을 이스라엘 아라바, 미국 CPS 등 고객사 에너지 기업에 매각 시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전기차 산업도 비슷한 상황에 놓였다. 기존에 2032년까지 유지하기로 했던 전기차 세액공제가 2026년 종료로 앞당겨질 전망이며, 상원 개정안에는 법안 발효 6개월 후 종료하는 내용까지 담겼다. 보조금 축소까지 겹칠 경우 ‘캐즘(Chasm) 현상’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반면 배터리 업계에 보다 유리한 방향으로 조정됐다. IRA 개정안으로 이전의 25% 세액 공제 혜택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된 반면 중국 배터리 업체를 견제하는 장치는 유지됐다.현재 공화당은 미국 독립기념일인 오는 7월 4일까지 법안의 의회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