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정부, '대출 6억까지' 초강력 부동산 규제건설株, 부동산 수요 둔화에 실적 침체 우려이자 수익 의존도 높은 은행株도 영향 불가피"조정 가능성 있지만 장기적으로 영향 제한적"
  • ▲ 6억원 이상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하는 고강도 대출 규제로 서울 강남권 부동산 시장이 숨을 죽이고 있는 30일 서울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앞에 매물 정보가 내걸려 있다. 업계는 한동안 급매물 위주로만 간간이 거래가 성사되며 전체 거래도 크게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 6억원 이상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하는 고강도 대출 규제로 서울 강남권 부동산 시장이 숨을 죽이고 있는 30일 서울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앞에 매물 정보가 내걸려 있다. 업계는 한동안 급매물 위주로만 간간이 거래가 성사되며 전체 거래도 크게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부동산 수요 억제를 위한 고강도 대출 옥죄기에 나서면서 대출 규제 영향권에 있는 건설·은행 관련주 주가에도 제동이 걸릴지 주목된다. 그간 국내 증시 훈풍에 힘입어 탄력 있게 오르는 모습이었지만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주가가 조정을 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HDC현대산업개발은 오전 9시 39분 기준 직전 거래일 대비 500원(2.17%) 하락한 2만2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GS건설(-0.72%), 대우건설(-1.89%), 동신건설(-1.06%), DL이앤씨(-2.06%) 등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건설주는 저평가 매력과 대선 기간 후보들의 주택 공급 확대 공약이 더해지며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부동산 시장 회복세 영향으로 수주 실적 또한 전년보다 개선됐다. 이에 KRX건설 지수는 올해에만 57% 가량 상승했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소식에 KRX건설 지수는 지난달 27일, 30일 각각 1.64%, 1.23% 하락했다. 이스라엘-이란 간 휴전 발표와 중동 재건사업 수혜 기대감으로 900대를 돌파하며 탄력있는 오름세를 보여왔지만 800대로 다시 내려앉은 것이다.

    특히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달 30일 7.61% 내렸고, DL이앤씨도 5.30% 하락하는 등 큰 타격을 입었다.

    건설업계의 경우 주택사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해 매출액 대비 주택사업 비중이 86%, GS건설은 73.9%에 달할 정도다. 이에 정부의 부동산 규제 소식에 예민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정부가 은행 대출 규제를 통해 수요를 억제함에 따라 실수요자가 관망세로 돌아서며 부동산 거래가 침체된다. 미분양 역시 증가하게 되면서 건설주는 실적 부진에 따른 하방 압력을 피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정부가 건설 경기 침체를 우려해 예산을 투입해 부양책도 병행하고 있는 만큼 단기 조정에 불과할 수 있다는 전망도 존재한다.

    김승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건설주들이 중장기적 개선 방향성을 단기 주가 상승으로 반영하고 있기에 주가 움직임은 다소 둔화할 수 있다"면서도 "중장기적 전망 방향성은 변함이 없다"고 했다.

    이동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도 "주택사업 비중이 큰 건설업종은 대출 규제에 민감해 단기적으로 주가조정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규제에도 정부의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한 공급확대 기조는 유효한 만큼 중장기적으로는 업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은행주도 대출 규제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다. 은행 업종의 경우 이자 수익 의존도가 높은 만큼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 실적에 대한 영향이 불가피히다.

    하지만 건설주와 다르게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에도 은행주는 견고했다. KRX건설 지수가 800대를 내주며 직격탄을 입었을 당시 KRX은행 지수는 도리어 상승하며 견고한 흐름을 보였다. 올해 들어 40% 가까이 상승한 KRX은행 지수는 지난달 27일과 30일 각각 0.50%, 0.19% 올랐다.

    증권가에서는 은행주가 가계 대출에도 굳건할 수 있었던 이유로 가계대출 제한으로 인한 영업이익 약화는 기업대출로 해소가 가능하고, 정부가 제한한 6억원 이상 주택담보대출 비중도 큰 편이 아니라는 점을 꼽았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중 은행주에는 부담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의 규제강화 조치는 은행권 가계대출 성장을 강제로 제한하는 만큼 주가 호재로 보기 어렵지만 부담스러운 요인이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도 "총량 규제 강화로 가계대출 성장률 둔화는 불가피하지만, 2022년과 2023년에도 가계대출이 부진했을 때 기업대출 증가로 전체 대출 성장률은 3~5% 수준을 유지했다"며 "은행들이 자산건전성 관리에 집중해야 하는 현 시점에서 이번 규제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는 의견도 있다. 전배승 LS증권 연구원은 "추가 부동산 정책 발표, 가계대출 억제조치가 상당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지속적인 성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기준금리 추가인하와 함께 대출 성장률 둔화추세가 장기화할 경우 중장기 이자이익 확보에는 부정적"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