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발언 이후 실현 여부 놓고 의견 분분
  • 공적자금이 투입된 우리금융지주와 대우조선해양이 `국민주' 형태로 매각될 것인지를 놓고 여의도 증권가에서 찬반 의견이 맞서고 있다.

    국민공모 방식은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가 13일 낮 청와대 이명박 대통령과의 오찬 자리에서 처음 거론했다.

    홍 대표는 "우리은행, 대우해양조선은 공적자금이 투입된 기업인데 대기업 매각은 곤란하고 포스코처럼 국민공모주 형태로 서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면 좋겠다"고 건의한 것이다.

    국민공모 해법이 여당 대표에 의해 제기됐다는 점에서 현실화하는 게 아니냐는 기대가 증권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국민공모란 정부가 관리 중인 대규모 공기업의 지분을 매각하면서 국민 각계각층에 주식을 골고루 나눠주는 것이다.

    주주가 된 국민은 나중에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면 이익을 분배받을 수 있다. 그래서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우량 공기업이 주요 대상이다.

    국내에서는 1988년 포스코가 첫 국민주로서 이름을 올렸고 이듬해 한국전력 주식이 국민주로 공급됐다.

    포스코는 정부가 보유지분 69.1% 가운데 34.1%인 3천128만주를 청약을 통해 선정된 322만명에게 매각했다. 지분은 근로자, 농어민, 저소득층 등에게 우선 배정됐다.

    이 방식이 우리은행과 대우해양조선 처리에 적용된다면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매각 절차를 조기에 매듭지을 수 있고 일반 국민에게 기업의 이익을 환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혜 시비 논란에서 벗어난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홍 대표의 발언은 우리금융지주와 대우조선해양 주식을 일반에 공개하면 향후 혜택이 서민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기대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 여당의 친서민정책 방향에도 맞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와 산업은행이 우리금융지주(56.97%)와 대우조선해양(31.3%)의 지분을 처분하려고 애썼지만 뚜렷한 해법을 못 찾은 상황에서 돌파구 확보 차원에서 이 방안을 제시했을 수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14일 "특정 금융회사나 사모펀드가 우리금융을 인수하면 분명히 특혜시비가 불거질 것이다. 그런 점에서 국민공모는 민영화 작업을 서둘러 마무리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정부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목표를 설정해 두고 있어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기한 채 두 회사에 대한 매각 절차를 진행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만만찮다.

    공자위가 우리금융지주 매각의 목표로 제시한 것 중 하나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이다. 금융업계 일각에서는 정부가 이런 목표를 포기했다면 이미 민영화가 완성됐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최상목 사무국장은 "우리금융은 이미 매각이 진행되고 있어 인제 와서 매각 방식을 바꿀 계획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우리금융지주와 대우조선해양의 주가가 매각 후 오를 것인지에 대한 의문도 있다. 13일 현재 주당 가격은 대우조선해양 4만2천50원, 우리금융지주 1만3천700원이다.

    당사자인 우리금융지주와 대우조선해양은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매각 주체가 산업은행이니까 우리가 정할 수 있는 게 아니다"고 말했고, 우리금융지주 관계자는 "민영화 계획 검토 과정에서 나왔던 방안 중 하나지만 메가뱅크 이야기가 나오면서 뒤로 밀린 상황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