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6명 30~40대 중소득층해지 자금 대부분 일반 생활자금 투입
  •   

    금융상품 중도해지자의 대부분이,
    생활자금이 궁한
    30~40대 중소득층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소장 양원근)10,
    금융상품 중도해지자 10명 중 6명이,
    월평균소득 [250만원~600만원]의,
    30~40대 중소득층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중도해지 및 환매 이유로는,
    [일반 생활자금으로 전환]이 가장많아,
    가계 생활 여건이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금융소비자 중 64%가,
    과거
    1년 이내 금융상품 중도해지 경험이 있으며,
    이들은 평균 2.2개의 금융상품을 중도해지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상품 중도해지자 중 절반 정도는,
    향후 금융상품 중도해지 및 환매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향후에도 중도해지 및 환매가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 ▲ 금융상품 중도해지자의 연령별 분포
    ▲ 금융상품 중도해지자의 연령별 분포

  • ▲ 금융상품 중도해지자의 월평균소득별 분포
    ▲ 금융상품 중도해지자의 월평균소득별 분포

     

  • ▲ 중도해지 및 중도환매율
    ▲ 중도해지 및 중도환매율

     

     

    전체 금융소비자의 52%가 예·적금을 해지해,
    금융상품 중 가장 높은 해지율을 보였다.
    이들 중 70%[목돈마련], [생활비 부족]을 이유로,
    중도해지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지자금의 3분의1 정도는 [일반 생활자금]으로 사용했다.
    예적금 중도해지자는,
    30대 월평균소득 250만원~500만원인,
    중저소득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소득 5,000만원인 40세 남성 병원 사무장

    얼마 전 집을 샀거든요. 그 때 조금 어려워져서 적금 같은 상품을
    다 해지하고 지금은 거의 0에서 다시 시작했어요.
    지금은 조금씩 저축해 가고 있는 단계에요.

        

     

    보험을 중도해지한 경우는 전체 금융소비자의 23%,
    30~40대가 60%를 차지했다.
    보험 해지의 주된 이유는,
    [목돈마련], [월 납입액 및 잔여납입기간에 대한 부담] 으로 나타났다.
    중도해지한 보험금은 [일반 생활자금]으로 사용된 경우가 30%로 가장 많았다.

     

    연소득 4,000만원인 41세 남성 회사원

    소득이 불안정해지니까 생활이 유지가 안되잖아요.
    금융상품도 마찬가지에요. 매월 꾸준하게 돈을 낼 수가 없어요.
    얼마전에 연금보험도 하나 해지했어요.
    물론 원금이 아깝지만 대출 이자도 못내고 있는데,
    금융상품에 매월 어떻게 꾸준히 돈을 내요.
    그거 가지고 대출 갚고 생활비하는거죠.  

        

     

    펀드 중도환매자는 전체 금융소비자의 20%,
    [30대 남성], 월평균소득 600만원 이상인 고소득층에서 많이 나타났다.
    주된 이유는,
    [목돈마련], [낮은 금리], [더 좋은 상품으로 갈아타기 위해] 순으로 나타났다.

     

    연소득 5,000만원인 40세 남성

    원금 손실이 싫어요.
    솔직히 얼마전 해지했던 펀드도 손해액이 크지는 않았거든요.
    은행 직원이 조금만 더 기다리라고 하는데,
    지점에 가서 싫다고 난리치고 해지해버렸어요.

     

      

    <KB경영연구소> 골든라이트연구센터 황원경 센터장의 말이다.

     

    저성장 및 저금리 기조의 지속, 부동산 경기 침체 및 소득 정체 등으로,
    생활여건 개선이 어려워 중도해지 및 환매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

    특히 중년층 이상 대부분이 노후자금준비가 부족한 현실을 감안할 때,
    연금보험 중도해지에 따른,
    금융기관의 지원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금융권에서는 금융자산 중도해지를 줄이기 위해,
    [상품가입과정에서의 고객 상담 프로세스 강화],
    [단기 자금부족을 해결하고자하는 고객 니즈를 반영한 상품개발],
    [중도해지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지원체계 구축] 등에 더 힘써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