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30~40대 중소득층 남성 [생활비 부족] 금융상품 해지

10명 중 6명 30~40대 중소득층해지 자금 대부분 일반 생활자금 투입

입력 2013-07-10 13:01 | 수정 2013-07-10 13:40

  

금융상품 중도해지자의 대부분이,
생활자금이 궁한
30~40대 중소득층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소장 양원근)10,
금융상품 중도해지자 10명 중 6명이,
월평균소득 [250만원~600만원]의,
30~40대 중소득층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중도해지 및 환매 이유로는,
[일반 생활자금으로 전환]이 가장많아,
가계 생활 여건이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금융소비자 중 64%가,
과거
1년 이내 금융상품 중도해지 경험이 있으며,
이들은 평균 2.2개의 금융상품을 중도해지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상품 중도해지자 중 절반 정도는,
향후 금융상품 중도해지 및 환매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향후에도 중도해지 및 환매가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 금융상품 중도해지자의 연령별 분포

▲ 금융상품 중도해지자의 월평균소득별 분포

 

▲ 중도해지 및 중도환매율

 

 

전체 금융소비자의 52%가 예·적금을 해지해,
금융상품 중 가장 높은 해지율을 보였다.
이들 중 70%[목돈마련], [생활비 부족]을 이유로,
중도해지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지자금의 3분의1 정도는 [일반 생활자금]으로 사용했다.
예적금 중도해지자는,
30대 월평균소득 250만원~500만원인,
중저소득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소득 5,000만원인 40세 남성 병원 사무장

얼마 전 집을 샀거든요. 그 때 조금 어려워져서 적금 같은 상품을
다 해지하고 지금은 거의 0에서 다시 시작했어요.
지금은 조금씩 저축해 가고 있는 단계에요.

    

 

보험을 중도해지한 경우는 전체 금융소비자의 23%,
30~40대가 60%를 차지했다.
보험 해지의 주된 이유는,
[목돈마련], [월 납입액 및 잔여납입기간에 대한 부담] 으로 나타났다.
중도해지한 보험금은 [일반 생활자금]으로 사용된 경우가 30%로 가장 많았다.

 

연소득 4,000만원인 41세 남성 회사원

소득이 불안정해지니까 생활이 유지가 안되잖아요.
금융상품도 마찬가지에요. 매월 꾸준하게 돈을 낼 수가 없어요.
얼마전에 연금보험도 하나 해지했어요.
물론 원금이 아깝지만 대출 이자도 못내고 있는데,
금융상품에 매월 어떻게 꾸준히 돈을 내요.
그거 가지고 대출 갚고 생활비하는거죠.  

    

 

펀드 중도환매자는 전체 금융소비자의 20%,
[30대 남성], 월평균소득 600만원 이상인 고소득층에서 많이 나타났다.
주된 이유는,
[목돈마련], [낮은 금리], [더 좋은 상품으로 갈아타기 위해] 순으로 나타났다.

 

연소득 5,000만원인 40세 남성

원금 손실이 싫어요.
솔직히 얼마전 해지했던 펀드도 손해액이 크지는 않았거든요.
은행 직원이 조금만 더 기다리라고 하는데,
지점에 가서 싫다고 난리치고 해지해버렸어요.

 

  

<KB경영연구소> 골든라이트연구센터 황원경 센터장의 말이다.

 

저성장 및 저금리 기조의 지속, 부동산 경기 침체 및 소득 정체 등으로,
생활여건 개선이 어려워 중도해지 및 환매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

특히 중년층 이상 대부분이 노후자금준비가 부족한 현실을 감안할 때,
연금보험 중도해지에 따른,
금융기관의 지원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금융권에서는 금융자산 중도해지를 줄이기 위해,
[상품가입과정에서의 고객 상담 프로세스 강화],
[단기 자금부족을 해결하고자하는 고객 니즈를 반영한 상품개발],
[중도해지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지원체계 구축] 등에 더 힘써야 할 것이다.


허고운 gowoon@newdaily.co.kr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자동차

크리에이티비티

금융·산업

IT·과학

오피니언

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