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등 생활용품 원료
  • ▲ ▲ 뉴데일리 DB
    ▲ ▲ 뉴데일리 DB



    플라스틱,
    합성고무,
    세제,
    농약 등
    생활용품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화학물질 [벤젠].

    [벤젠]은 어떤 물질일까?

    벤젠은
    색깔이 없는 투명한 액체로,
    휘발유와 비슷한 냄새가 난다.

    물에 잘 섞이지 않고,
    불에 잘 붙고,
    공기 중으로 쉽게 날아간다.

    공기 중으로 쉽게 날아가는 휘발성이 있는 유기화합물은
    끊는점이 낮아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하며,
    주로 건축자재, 세탁용제, 페인트 등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물질에 과다하게 노출되면
    호흡곤란, 두통, 빈혈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로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스타이렌 등이 있다.

    벤젠은 어디서 어떻게 배출될까?

    휘발성으로 인해 주로 공기 중으로 배출되며,
    물이나 토양으로 배출된 경우에도 대부분 휘발돼 공기 중으로 이동한다.

    산불이나 물건이 탈 때도 자연적으로 아주 적은 양이 발생하나,
    주로 벤젠을 원료로 다루는 석유화학단지에서 많이 배출된다.

    자동차 배출가스나
    주유소에서 휘발유와 같은 자동차 연료를 주입할 때 배출되기도 하며,
    담배 연기에도 미량이 들어 있다.

    건축자재나 페인트 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접착제, 세정제, 왁스, 살충제에도
    들어있는 경우가 있어서 사용할 때 실내에서 배출될 수도 있다.

    벤젠의 국내 생산량은 지난해 기준 471만8,624t, 수입량 16만2,600t이고,
    국내 수요량은 336만938t이다.

    벤젠은 호흡기를 통해 우리 몸으로 들어올 수 있다.

    자동차 배출가스나 담배연기로부터 배출된 벤젠은
    숨을 들어마실 때 공기를 통해 흡수되기도 하고,
    실내에서는 바닥 접착제나 카펫, 매트, 가구용 왁스 등에 포함돼 있는
    벤젠이 휘발돼 몸 속에 들어올 수 있다.

    호흡할 때 약 50%가 몸속으로 흡수되며,
    아주 적은 양이지만 피부를 통해 침투되기도 한다.

    몸에 흡수된 벤젠은
    지방에 잘 녹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주로 인체의 지방 조직에 분포하게 된다.

    갑자기 짧은 기간에 높은 농도로 노출되면
    마취된 것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숨쉬기가 곤란하거나,
    맥박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졸린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높은 농도로 노출돼 중독되는 경우는
    직업적으로 벤젠을 사용하거나
    사고가 났을 때 외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낮은 농도라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혈액에 문제가 생겨 빈혈이나 암의 일종인 백혈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

    유엔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벤젠을 사람에게 암을 일으키는 물질인 [발암석 등급 1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환경부는 벤젠을 유독물로 지정해
    수입신고, 영업등록을 하도록 하고 있으며
    취급시설 검사, 개선명령 등 관리기준을 정하고 있다.

    신축 공동주택의 쾌적한 실내공기를 위해
    벤젠 등의 권고기준(30㎍/㎥이하)을 두고 있다.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제9조에 따라
    신축 공동주택의 시공자는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해
    그 측정 결과를 입주 개시전에 입주민들이 잘 볼 수 있는 장소에 공고해야 한다.

    환경정책기본법 제10조를 보면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벤젠의 환경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있다.

    - 대기기준 연간 평균치 5㎍/㎥ 이하
    - 하천·호소에서의 사람 건강보호 기준 0.01mg/L 이하
    - 지하수(생활용수) 0.015mg/L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