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인 없는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논란이 된 임직원의 납품비리가
"대우조선해양의 방만한 경영과
산업은행의 관리부실이 불러온 결과"란
지적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지난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의 임직원 봐주기,
일감 몰아주기 등에 대한 [산업은행]의 관리책임 지적이 잇달았다.정호준 의원(민주당)의 주장이다.
"그동안 대우조선해양의 방만 경영에 대해
여러 차례 의혹과 문제점이 제기됐으나
산업은행 한 차례도 감사하지 않았다.또 투명경영체제가 확립됐는지
경영사항 전반에 대해 평가는 물론,
제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면서
이를 하지 않았다."즉 산업은행이 언젠가는 팔 대우조선해양의 내부 단속은 외면한 체
비싼 값에 팔려는 데만 급급한 결과란 지적이다.실제로 산업은행 지난 2008년부터
끊임없이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시도했다.당시 [포스코-GS컨소시엄]이 인수전에 참여했지만 결렬됐고,
[한화]와 [현대중공업]이 뛰어들어 한화가 우선협상자로 선정됐으나
자금조달 문제로 2009년 재결렬됐다.이후 조선업황이 악화하면서 재매각 추진은 흐지부지됐다.
업계에서는 조선업황이 개선되고 있는 만큼
내년 상반기쯤 재매각이 추진될 것으로 보고 있다.산업은행의 부실관리 외에도
대우조선해양의 주인의식 부족에 대한
지적도 있다.
업계 한 관계자의 설명이다."오너가 있는 기업들은
직원들의 [주인의식]과 [애사심] 고취에 많은 노력을 한다.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고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서다.주인이 없는 기업은 이런 면에서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감사권이 있는 산업은행이
관리에 더 노력을 기울였어야 했다."실제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를 제외하고 2009년부터 매년 금품수수 등 비리사건이 발생했다.강기정 의원(민주당)에 따르면
남상태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의 연임로비 의혹을 포함해
2009년 이후 비리사건에 연루된
대우조선해양 임직원은 39명에 달한다.한편, [울산지검 특별수사부]는
지난 15일 협력사로부터 총 35억원가량의 금품을 받은
대우조선해양 임직원과,
이를 제공한 협력업체 대표 등 30명을 기소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