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금리 탓에 정기예금 인기 [뚝]돈 굴릴 곳 마땅찮아... 요구불예금 몰려
-
-
- ▲ (사진=연합뉴스) 저금리 기조 탓에 정기예금 인기가 떨어지고 있다. 이와 반대로 요구불예금에는 투자처를 찾지 못한 돈들이 몰리고 있다.
은행 정기예금의 인기가
갈수록 시들해지고 있다.
정기예금 금리가
사실상 [제로 금리]에 가까워진 탓이다.
반면,
정기적금은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언제든 돈을 찾아 쓸 수 있는
[요구불예금]이 급증하는 모양새다.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국민·우리·신한·하나)의
정기예금 잔액은
작년 말 362조2,000억원에서
지난달 말 359조4,000억원으로
2조8,000억원(0.8%) 줄어든 것으로
7일 집계됐다.
3조원 가까운 돈이
정기예금에서 빠져나간 셈이다.
3조원 가까운 돈이
정기예금에서 빠져나간 셈이다.
같은 기간
정기적금 잔액은
28조8,000억원에서
34조7,000억원으로
5조9,000억원(20.5%) 늘었다.
시장금리부 수시입출예금(MMDA)를 비롯한
요구불예금도
188조3,000억원에서
11조6,000억원(6.2%) 늘어난
199조9,000억원으로
잔액 200조원에 근접했다.
시장금리부 수시입출금식예금 (Monet Market Deposit Account)시장실세금리가 적용되고 입출금이 자유로운 단기상품.통상 500만원 이상 목돈을1개월 이내의 초단기로 운용하려는 투자자들이많이 활용하는 금융상품.
정기예금의 인기가 급격히 하락하는 것은
[제로 금리]에 가까울 정도로
금리가 낮아진 탓이다.
1년 만기 금리를 기준으로 할 때
[국민은행] 수퍼정기예금 2.3%,
[신한은행] 민트정기예금과 [하나은행] 고단위플러스 2.5%,
[우리은행] 토마스정기예금이 2.7%를 지급하는 등,
시중은행 정기예금의 금리는
3%를 밑돌고 있다.
하지만 이들 정기예금의 실제 금리는
1% 안팎의 물가상승률과
이자소득세(15.4%)를 고려하면
사실상 [제로금리]에 가깝다는 것이
금융권의 분석이다.
반면
요구불예금을 포함한
정기적금의 증가세는
자금을 굴릴 수익처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요구불예금 가운데
기업 MMDA의 경우
10억원 이상의 금액을 맡기면
최고 1.7%(하나은행 수퍼플러스 MMDA)의 금리를 줘
정기예금에 돈을 묶어놓는 것보다
유리하다.
동양증권 CP(기업어음) 투자자의 대규모 피해로
금융투자상품의 위험성이 부각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금융권은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