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계의 씀씀이를 보여주는 지표인 평균소비성향이 통계가 산출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가계가 작년 1년간 소득이 늘더라도 그만큼 소비를 늘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간 소비지출 증가율도 0.9%로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다만, 4분기에는 월평균 소비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상회했다. 이는 2011년 2분기 이후 30개월 만으로, 소비 회복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는 대목이다.
◇연간 평균소비성향 전년보다 0.7%포인트↓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에 따르면 2013년 연간 평균소비성향은 73.4%로 2012년의 74.1%보다 0.7%포인트 하락했다.
평균소비성향은 처분 가능한 소득에 대한 소비 지출액의 비율을 뜻하는 용어로, 쓸 수 있는 돈이 100만원이라면 73만원만 썼다는 의미다.
평균소비성향의 하락은 소득에 비해 지출을 덜했기 때문이다.
연간 평균소비성향은 2010년 77.3% 이후 2011년 76.7%, 2012년 74.1% 등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최근 2년간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75.9%)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서운주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정부의 영유아 보육료·유치원비 지원으로 가계지출이 정부지출로 바뀌게 된 영향도 있다"며 "아울러 향후 경기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가 작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득 계층 5분위별 평균소비성향 변화율을 살펴보면 하위 20∼40%인 2분위는 0.4%포인트 상승했지만 중간 층인 3분위는 2.9%포인트 하락했고 1분위(1.8%포인트)와 4·5분위(각 0.3%포인트)도 떨어졌다.
소득 분배 지표인 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해 4.55배로 2004년(4.61배) 이후 가장 낮아 개선 흐름을 보였다.
연간 소비성향은 낮았지만 작년 4분기 평균소비성향은 73.0%로 전년 동기보다 1.2%포인트 올랐다.
2011년 2분기 이후 2년반 만에 처음으로 상승한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4분기 들어 소비지출 증가율이 가계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는 등 소비개선 흐름이 나타나는 모습"이라며 "보육료 지원 등의 정책지원 효과가 제거되는 2014년에는 올해보다 소비지출이 더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 소비지출 뚝 떨어져 '불황형 흑자'
2013년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16만2천원으로 전년보다 2.1% 늘었는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1.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근로소득(2.8%), 이전소득(3.5%), 사업소득(0.4%)은 늘고 재산소득(-3.0%), 비경상소득(-3.6%)은 줄었다.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48만1천원으로 전년보다 0.9% 늘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4년 이래 가장 작은 증가폭이다.
통계청은 보육료 지원 등 정부의 정책 효과를 배제할 때의 연간 소비지출 증가폭은 1.76% 정도일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이 역시 2009년(1.7%) 이후 최저치다.
실질 소비지출은 2009년(-1.1%)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서 -0.4%를 기록했다.
소득은 늘었으나 사실상 소비가 줄면서 가계흑자액과 흑자율은 2003년 통계 산출 이래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지난해 가계흑자액은 90만원, 흑자율은 26.6%였다.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나타난 '불황형 흑자'인 셈이다.
한편, 지난해 4분기 중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16만3천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1.7%) 이후 2분기(2.5%), 3분기(2.9%)에는 증가폭을 확대하다가 다시 주저앉은 셈이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소득 증가율도 0.7%로 역시 1분기(0.1%) 이후 최저치다.
근로소득(2.2%)과 사업소득(0.4%), 이전소득(2.1%)은 늘었지만 이자율 하락으로 재산소득(-9.5%)이 뚝 떨어지면서 경상소득은 1.7% 증가에 그쳤다. 퇴직금·경조사 수입 등이 포함된 비경상소득은 3.1% 늘었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48만4천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 4개 분기째 상승세를 이어 지난해 2분기(3.6%)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실질 소비지출은 1.9% 증가했다.
◇ 유치원비 지원에 교육 지출 줄어
지난해 소비지출 중 가정용품·가사서비스(6.6%)와 주거·수도·광열(4.2%)은 늘고 기타 상품·서비스(-6.4%), 교육(-1.8%)은 줄었다.
이 가운데 주거·수도·광열(월평균 26만7천원)은 월세 등 실제 주거비 증가(7.0%)의 영향이 컸다.
기타상품·서비스(월평균 20만2천원)는 정부의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에 따른 복지시설(-54.6%) 지출 감소로 1년 전보다 감소했다.
교육(월평균 28만3천원) 지출 감소도 마찬가지로 정부의 유치원비 지원으로 정규교육(-13.1%) 지출이 줄어든 영향이 크다.
4분기 지출은 1년 전과 비교해 교육(-0.2%)만 소폭 감소했을 뿐 나머지 모든 항목에서는 증가했다.
가구 및 조명(20.3%) 등 지출 증가로 가정용품·가사서비스(10.7%)가 크게 늘어났고, 입원서비스(23.1%)와 외래의료서비스(10.0%) 지출이 늘면서 보건(7.5%) 증가폭도 컸다.
육류와 과일류 소비 지출 증가로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월평균 35만5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3% 늘었다. 의류·신발 지출도 20만8천원으로 1년 전보다 2.6% 증가했다.
주류·담배 지출은 월평균 2만7천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늘었다. 담배(-4.1%)는 감소했으나 주류(8.7%) 증가폭이 큰 데 기인한 것이다.
주거·수도·광열 지출(월평균 25만6천원)도 전년 동기보다 0.8% 늘었다. 교통(1.6%), 통신 지출(2.1%), 오락·문화 지출(4.8%)도 늘어났다.
음식·숙박과 기타상품·서비스 지출도 각각 5.2%와 2.2% 증가했다. 그러나 교육은 1년 전과 비교해 0.2% 줄었다. 연금·사회보험 등 비소비지출은 3.8% 늘었다. (세종=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