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그룹이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대전센터)에서 육성 중인 벤처기업들이 국내외로부터 거액을 투자 받고 신규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 대전센터에 투자유치와 고용창출 등 ‘쌍둥이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SK그룹이 ‘창조경제’의 모범사례를 정착시킨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7일 SK그룹에 따르면 대전센터가 확대 출범한 지 2개월여만에 입주 벤처기업 10개 가운데 5개가 국내외에서 13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엑센은 10억원을 투자 받아 입주 업체 가운데 최고액을 기록했다. ㈜엑센은 지난 5일 벤처창업기획사인 액트너랩에게서 1억원을 투자 받는 협약식을 체결했다. ㈜엑센은 또 정부와의 메칭 프로그램을 통해 최대 9억원을 추가 지원 받는다.
SK그룹은 대전센터에 입주한 10개 벤처기업에 2000만원씩 초기 창업지원금을 전달했다. SK가 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초빙한 멘토들도 투자자로 참여했다. 조만간 2억원의 추가 펀딩이 예정된 벤처기업이 생겨나는 등 크고 작은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엑센은 2012년 10월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이산화탄소 센서를 활용해 스마트홈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구현하는 기반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SK는 ㈜엑센의 기반기술이 그룹의 ICT와 결합하면 상업적으로 응용분야가 많다고 보고 시장 가치를 극대화 시키는 인큐베이팅을 진행했다. SK는 또 지난 달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사물인터넷(IoT) 진흥 주간’ 전시회에 SK텔레콤의 동반 전시업체로 참여시켰다. 인지도를 제고해 판로개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액트너랩 양홍춘 이사는 “다양한 가스를 감지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어서 응용가능한 사업분야가 무궁무진하다”면서 “대기업이 기술과 시장성을 인정했다는 점도 높이 평가해 투자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국내 엔젤 1세대 대표주자인 대덕벤처파트너스의 강중길 대표와 KITE창업가재단의 김철환 대표 등 대전센터의 멘토들도 벤처기업 2곳에 초기 투자금 2억원을 지원했다.
강 대표 등은 지난 9월 중소기업청이 지정한 벤처 투자 전문가들이다. 유명 투자가들을 끌어들여 인큐베이팅과 투자를 동시에 유도하고자 한 SK그룹의 복안이 적중한 셈이다. 강 대표 등은 투자자를 추가로 유치해 투자금 규모를 늘려 나갈 예정이다.
벤처기업들은 연구개발비, 시제품 제작, 해외 전시회 참여 등 그간 ‘숙원사업’을 해결하는데 투자금을 사용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 투자자도 눈독을 들이고 있다.
㈜엠투브는 미국계 벤처캐피탈인 DEV에게서 2만 달러를 유치했다. 지난 10월대전센터 입주 벤처기업 대표를 만나 투자 가능성을 검토했던 미국의 유명 벤처창업기획사 랩 나인(Lab Ⅸ)의 움직임도 바빠졌다.
랩 나인은 최근 예비창업가 박지만씨 등 3개 업체 대표에게 “투자여부를 조만간 결정 짓겠다”는 의향서를 보냈다. 결과에 따라 미국 실리콘벨리에 조기 진출하는 벤처기업이 생겨날 수 있다.
또한 대전센터 입주 벤처기업에 신규 인력이 몰려드는 긍정적인 현상도 나타났다. 특히 해외 박사와 대기업 출신의 전문 인력이 입사를 해 ‘창조경제’를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나노람다코리아는 미국 박사학위를 소지한 나노기술 전문가, ㈜알티스트는 2명의 석사급 기술자를 채용했다. ㈜테그웨이는 LG전자와 옛 하이닉스 반도체의 연구개발자를 양산 담당 임원으로 영입했다. ㈜엠제이브이는 전문 웹디자이너를 채용해 예전 회사 대표가 손수 디자인하던 작업을 전담시켰다. 대전센터에 입주한 10개 벤처기업의 직원은 종전 41명에서 46명으로 두 달 만에 12% 이상 증가했다. 구인 광고를 냈지만 지원자가 거의 없었던 과거와 확연해 달라졌다.
㈜나노람다코리아 최병일 대표는 “대전센터 입주 후 회사 신뢰도와 인지도가 올라가 인력 충원이 쉬워졌고 고객과 사업 협의하기가 한결 용이해졌다”고 말했다.
이처럼 투자금 유치와 직원 채용 등으로 기업 운영이 안정화되면서 ㈜알티스트와 ㈜씨메스는 지난 달 각각 7600만원과 25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창사 후 첫 매출로 대전센터 입주 한달 여 만에 발생한 실적이다.
황근주 SK그룹 창조경제혁신(CEI)센터장은 “SK와 대전센터의 지원으로 벤처기업의 불안감이 해소되고 상품개발과 사업화에 집중하면서 투자유치, 기술인재 영입, 매출증가 등 ‘창조경제’의 가시적인 결과물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황 센터장은 “연내 300억 규모의 투자 펀드가 조성되면 창조경제의 성공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