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의 플랜트부품 제조 계열사 포스코플랜텍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돌입하게 됐다.
포스코플랜텍 채권단은 3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채권금융기관협의회를 열고 포스코플랜텍의 워크아웃 개시를 결정했다. 채권단은 산업 외환 신한 우리은행 등 12개 금융기관으로 구성됐다.
채권단은 조만간 삼일회계법인을 통해 포스코플랜텍의 자산 부채 등을 실사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르면 8월 늦어도 9월까지는 채무재조정을 포함한 경영정상화 계획을 확정짓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워크아웃 개시로 채권단이 보유한 채권 만기가 3개월간 연장되며 포스코플랜텍도 당장의 숨통은 트이게 됐다. 포스코플랜텍의 총 여신 규모는 5000억여원 수준인데, 이중 892억원의 만기가 최근 도래한 바 있다.
하지만 긴장의 끈을 완전히 놓을 수도 없는 상황이다. 당초 채권단은 포스코플랜텍의 워크아웃 동의에 부정적 시각을 보였다. 모기업이자 포스코플랜텍의 대주주인 포스코가 유상증자를 비롯한 추가적 자금지원은 불가하다는 방침을 밝혔기 때문이다.
채권단 내 한 관계자는 "포스코와 채권단 모두가 윈윈하기 위해 워크아웃 처리를 결정한 것인데, 만약 포스코가 자금지원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워크아웃 최종판단이 뒤바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여전히 자금지원은 불가하지만 우회적으로 포스코플랜텍의 경영정상화를 돕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손실을 야기한 해양플랜트 사업을 축소하고, 고로개보수 등 계열사 일감을 확보하는 등 방식으로 경영정상화 방안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플랜텍은 플랜트시장 불황 등 여파로 지난해 189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2년 연속 적자 늪에 빠져있다. 포스코는 지난해 말 2900억원의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등 재무구조개선을 추진하는 상황에서도 이 회사를 살리기 위해 총 3600억원 이상을 지원했다.
업계에서는 포스코플랜텍이 법정관리로 들어설 경우 포스코나 채권단 모두가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포스코 입장에서는 포스코플랜텍의 경영권을 잃게되고, 채권단 또한 채권 완전 회수가 불투명해지기 때문이다.
한편 포스코플랜텍은 지난달 정기 기업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부실징후기업)을 받으며 채권단 측에 워크아웃을 신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