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란 등 원유는 넘처나는데..."정제시설 규모는 제자리"동절기 난방유 소비 급증 등 소비량 정제능력 넘어서저유가 속 제품가격 고공행진 최소 2년 이어질 듯
  • ▲ 정유·석유화학 공장설비 자료사진.ⓒ뉴데일리
    ▲ 정유·석유화학 공장설비 자료사진.ⓒ뉴데일리


    지난해 국제유가 폭락에 따른 수조원대의 재고평가 손실로 사상 최악의 해를 보냈던 정유업계가 올해 함박웃음이다.

    국제유가가 하향 안정세를 보이면서 원료비 부담이 낮아진 가운데, 석유제품시장의 공급부족에 따른 높은 수준의 정제마진이 확보됐기 때문이다. 정제마진이란 정유사가 산유국으로부터 원유를 들여와 제품을 만들었을 때 발생하는 차액으로, 사실상 정유사 실적의 바로미터다.

    특히 이 같은 상황은 오는 2016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전세계 정유업계가 환경규제와 유가 변동성, 그리고 세계 각 정부의 대체에너지 정책 지원 등 석유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정제시설에 대한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공급부족이 이어지고 있다. 또 새로운 시설이 확충되기까지 약 2년여 정도 지속되기에 높은 정제마진이 당분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29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S-OIL),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4사의 올 영업이익이 6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이 같은 추세가 2016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실제 정유사의 수익을 결정짓는 정제마진 강세에 힘입어 올 4분기에만 2조원대의 높은 영업이익이 예상되는 등 올해 7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손익분기점 위에서 형성되고 있는 정제마진으로 국내 정유사들이 올해 높은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북반구가 동절기에 접어들어 난방유의 계절적인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높은 정제마진은 내년 상반기까지 견조하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올해 상반기 정제마진은 배럴당 평균 9.8달러 수준을 유지했다. 3분기 잠시 7달러 수준까지 떨어졌지만, 11월부터 가파르게 상승하기 시작, 10달러를 넘어서면서 11월과 12월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정유업계의 정제마진 손익분기점은 배럴당 3~4달러 수준이다.

    정제마진이란 원유를 구입해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LPG 등의 석유제품을 생산·판매하는 과정에서 원유 구입비용, 물류비용, 공정비용 등을 뺀 금액이다. 석유제품마다 판매 가격이 달라 정제마진이 각기 다른데 이를 모두 합쳐 평균을 내 정제마진을 계산한다.

    일일 정제능력이 305만9000배럴(SK에너지 121만5000배럴, GS칼텍스 78만5000배럴, 에쓰-오일 66만9000배럴, 현대오일뱅크 39만배럴)로 세계 6위(1위 미국, 2위 중국, 3위 러시아, 4위 인도, 5위 일본)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국내 정유업계는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저유가와 높은 정제마진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글로벌 석유시장은 석유수출국기구(OPEC)를 중심으로 한 원유시장과 휘발유, 등·경유, 항공유 등 석유제품시장으로 양분된다.

    원유의 경우 셰일가스 출현에 따른 헤게모니 싸움으로 공급과잉 해소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가 감산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지정학적 불안요인으로 제제를 받아왔던 이라크가 조만간 수출에 나설 것으로 예측되는 등 유가 반등을 기대하기 쉽지 않은 상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의 셰일가스를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저렴한 LNG(액화천연가스·주성분 '메탄')가 에너지 시장에서 원유를 견제하는 역할을 하면서 산유국들이 감산을 통해 유가를 끌어올릴 수 있는 힘을 잃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1980년대 영향력이 절대적이었던 OPEC은 현재 감산을 통해 유가 상승을 일으킬 힘이 부족하다. 두 차례의 오일 쇼크를 계기로 개발되기 시작한 미국의 셰일가스가 지난 2006년부터 상업생산을 시작했고 액체 탄화수소(원유)의 위기와 기체 탄화수소(천연가스)의 시대라는 새로운 에너지 페러다임을 견인했다.

    지난해 평균 배럴당 100달러 수준으로 원유 가격을 유지했던 산유국들은 천연가스와의 경쟁을 위해 가격 하락을 선택했다.

    특히 현재 30달러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는 유가가 상승하더라도 셰일가스의 경쟁력이 회복되는 수준인 배럴당 60달러를 넘어서지 못 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또한 현재 감산을 통해 유가를 견인하려는 산유국들의 시도는 천연가스에 주류 에너지 시장을 내주는 자충수가 될 수도 있다.

    이처럼 원유는 시장에 넘처나는 데, 전세계 정제설비는 답보상태다. 생산되는 원유를 제품으로 만들 시설이 없어 소화를 하지 못하는 상태다. 하지만 석유제품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국제시장에서 원유가격 대비 높은 수준에 거래되고 있다.

    2014년 기준 전세계 일일 석유제품 수요는 9208만6000배럴. 하지만 정유사들이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만들어 낼 수 있는 시설 규모는 8867만3000배럴에 그치고 있다.

    원유 시장의 공급과잉과 달리 석유제품의 경우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태.

    정유업계 한 관계자는 "전세계 수요가 1억배럴을 돌파할 것이라는 예측이 십수년 전부터 나왔다"면서 "하지만 배럴당 100달러 수준의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대체에너지에 관심이 집중됐고, 이 영향으로 제 때 투자가 이뤄지지 못한 결과가 저유가 속 고공행진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정제시설의 경우 부지확보, 인허가, 설계, 시공 등 복잡한 절차로 추가 설비 확충에는 최소 2년여의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그동안 고유가 속에서도 설비효율화와 증설을 해 온 정유사들이 이번 열매를 따 먹는 셈"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