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선 1척 추가 가압류…68척 표류중

  • ▲ 한진해운 물류대란 사태가 장기화 국면을 맞고 있다. ⓒ 한진해운
    ▲ 한진해운 물류대란 사태가 장기화 국면을 맞고 있다. ⓒ 한진해운


한진해운 發 물류대란 사태가 장기화 국면을 맞고 있다. 

20일 기준 68척의 배가 짐을 내리지 못한 채 바다 위를 떠돌고 있고 이날 캐나다에서 한진 스칼렛호가 추가로 압류되면서 좀체 해결의 기미를 찾지 못하고 있다. 가압류 상태의 배만 벌써 4척이 넘는다.

원칙론을 앞세운 정부의 강공책은 여전하고 배임의 덫에 걸린 대한항공 이사회는 공전을 거듭하고 있다.
 
한진해운 임직원과 물류·협력사 직원 2만여명이 느끼는 일자리 위협이 점점 현실화되는 분위기다. 한진해운에서만 30% 이상의 임직원이 옷을 벗을 것이라는 흉흉한 소문마저 나돌고 있다.

여전히 발이 묶인 선박을 풀기 위해서는 자금 투입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한진그룹 조양호 회장은 내놓은400억원의 사재는 단박에 약발이 다했다. 추가로 대한항공이 600억원을 지원할 것이라는 기대가 많았지만 한걸음도 진전이 없다.

애초 대한항공은 미국 롱비치터미널 지분으로 대출을 받아 자금을 마련하려고 했으나 이미 6개 해외 금융기관이 담보를 설정하면서 지분 관계가 복잡하게 얽혔다. 사실상 담보 대출이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일각에서는 대한항공이 보유한 사내유보금을 거론하고 있지만 이번엔 '배임' 논란이 걸림돌이다.
 
한진해운이 이미 법정관리에 돌입한 상황에서 같은 계열 회사인 대한항공이 유보금 지원을 결정할 경우 곧바로 배임 시비가 일 수밖에 없다.
대한항공 내부에서는 정부가 특별법 제정 등의 방식으로 자금 지원 길을 열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 ▲ 한진해운 물류대란 사태가 장기화 국면을 맞고 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 뉴데일리
    ▲ 한진해운 물류대란 사태가 장기화 국면을 맞고 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 뉴데일리

  • 하지만 정부의 태도는 냉랭하다. 대주주인 한진그룹을 향한 압박은 범정부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기업의 무책임과 도덕적 해이에 물류대란의 책임이 있다"면서 "결코 묵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진의 책임론을  재차 강조했다. 

    채권단이 한진해운과 자율협약을 종료하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있었으나 한진 측이 물류 정보 등을 제공하지 않아 산업 현장에서 대비가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구조조정 청문회에서 "한진해운이 대마불사를 믿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한진 측은 정부 쪽에도 책임이 있다며 잔뜩 볼이 부었다.

    채권단인 산업은행과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가 최종적으로 법정관리를 결정하는 사이 산업부·해수부·외교부 등과 그 파급효과에 대한 예측을 제대로 하지 못해 피해가 커졌다는 것이다.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서울중앙지법 파산부는 전일 산은, 한진해운 관계자 등을 불러 사태 수습을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법원은 한진해운의 선박 하역 작업 지연에 따라 하루에 용선료 등으로 23억원의 비용이 발생, 법정관리 이후 400억원 이상의 비용이 추가로 들었다고 보고 있다.  

    앞서 청문회를 통해 설전만 벌인 정치권은 오는 22일로 예정된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는 대책 숙의없이 또다시 덧없는 책임공방만 벌일 것으로 보인다.
     
    험난한 한진해운의 앞날이 더더욱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