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따라 '도시문제 해결형', '비즈니스 창출형' 나눠 진행
  • 도시데이터 분석 및 활용 모델(좌), 도시데이터 허브모델의 기능 개요도. ⓒ국토교통부
    ▲ 도시데이터 분석 및 활용 모델(좌), 도시데이터 허브모델의 기능 개요도. ⓒ국토교통부

    정부가 대구광역시와 경기 시흥시를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실증도시로 선정하고 2022년까지 1159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구·시흥 두 곳을 실증도시로 선정해 스마트시티 국가전력 프로젝트를 본격 착수한다고 10일 밝혔다. 본 프로젝트는 한국형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 사업이다.

    이번 사업에서 개발한 데이터 허브 모델을 도시 인프라 및 시민으로부터 수집되는 각종 데이터를 통합 관리해 스마트시티 운영에 반영하는 핵심기술로 활용하게 된다.

    국토부 도시경제과 관계자는 "두 곳의 실증도시가 선정됨으로써 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 사업단은 세부 연구과제를 수행할 연구기관·기업을 공모해 8월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실증도시는 연구 목적에 따라 도시문제 해결형과 비즈니스 창출형으로 나눠 진행된다.

    도시문제 해결형은 교통·안전·도시행정 등 도시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 해결을 위해 대규모 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실증연구로, 대구가 대상이다.

    시흥에서는 에너지·환경·복지 등 새로운 산업을 스마트시티에 적용하기 위해 비즈니스 창출형 실증도시가 추진된다.

    도시문제 해결형에는 국비 358억원을 포함한 511억원, 비즈니스 창출형은 국비 263억원 등 368억원이 투입된다.

    국토부는 실증도시를 통해 개발되는 연구성과는 국가시범도시(세종·부산)와 국내 다양한 도시에 순차적으로 보급할 방침이다.

    이 관계자는 "스마트시티는 시민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분석·처리하고 연계하는 데이터 허브 기술이 핵심"이라며 "이런 기술을 적용하는 실증도시들은 세계적인 지능형 도시관리 선도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