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재계가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확대 기조에 맞춰 고용창출에 초점을 둔 대규모 투자에 잇따라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이 추세를 롯데만 따르지 못하고 있다. 투자와 관련된 최종결정을 내릴 총수의 부재 탓으로, 롯데의 경영활동이 위축됐다는 우려가 나온다.

    3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과 현대차, SK, LG 등 주요 기업은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만나며 속속 일자리 창출을 위한 관련 방안을 발표하거나 모색하고 있다.

    4대 그룹은 향후 5년간 220조원을 투자해 일자리 10만개를 만들 예정이다.

    시작은 SK그룹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달 27일 이사회를 열고 경기 이천 신규 반도체 공장 M16에 총 15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서울대 경제연구소는 해당 공장 착공으로 34만8000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삼성 역시 조만간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규모 투자계획을 발표한다.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이재용 부회장은 오는 6일 회동 직후 100조원 규모의 중장기 투자와 상생·혁신 생태계 조성 계획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삼성은 인도에서 이재용 부회장이 문재인 대통령과 만난 직후부터 다양한 계획을 모색했다. 문 대통령이 직접 이 부회장에게 일자리 확대를 주문한 만큼 고용에 방점이 찍힌 투자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기준 삼성의 신규인력 채용규모는 1만4000명이다. 재계는 삼성이 문 대통령의 주문에 따라 최소 10% 이상 고용을 확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신입사원 채용규모를 밝힐 수는 없지만, 내부적으로 일자리 확대와 관련된 세부계획을 수립했다”며 “신규인력 규모뿐만 아니라 청년을 대상으로 한 취업 및 창원 지원방안도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현대차와 LG도 마찬가지다. 현대차그룹은 향후 5년간 23조원을 투자해 4만5000명을 고용할 계획이다. LG그룹은 올해 19조원을 투자해 1만명을 추가채용한다. 

    재계의 현재 흐름에 롯데는 '속앓이’를 하고 있다. 재계가 김동연 부총리와 만난 이후 대규모 투자계획과 일자리 창출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신동빈 회장의 구속수감으로 발이 묶였기 때문이다. 또 2021년까지 7만명을 채용하겠다고 공언한 목표도 달성여부가 불투명하다.

    재계 관계자는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대규모 투자계획 마련을 롯데는 안하는 것이 아니라 못하는 것”이라며 “수십조원에 달하는 투자계획은 실패 시 기업의 존속을 위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동빈 회장의 부재는 책임 주체의 공백으로 이어져 롯데의 의사결정 지연을 초래했다”며 “부회장단으로 꾸려진 비상경영위원회가 책임을 지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결국 총수 부재가 중장기 투자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는 얘기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신규인력 채용은 기업의 3년 후 농사를 대비한 밭고르기로 쉽게 고용확대를 결정할 수 없다”며 “장기적 관점 없이 인력을 대거 채용하면 향후 기업경영에 심대한 타격을 미칠 수 있어 총수의 결정이 반드시 필요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의 구속수감으로 황각규 롯데지주 부회장을 중심으로 한 비상경영위원회가 기업운영에 나서고 있다. 이 같은 비상체제는 일반적인 경영활동과 시급한 상황에는 대처가 가능하지만 투자 및 고용확대 등 중대한 의사결정을 내리기는 어렵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신동빈 회장의 부재로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총수의 결정이 필요한 많은 경영현안이 지연되거나 중단된 건이 많다”며 “법원이 현명한 판결을 내려주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신동빈 회장의 항소심 절차는 오는 29일 마무리된다. 법원은 1개월간 내부 심리기간을 거쳐 늦어도 10월초 선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