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보 개방 정책'에 4대강 물 사용 알려질까 전전긍긍
  • ▲ 가뭄 자료사진 ⓒ 연합뉴스
    ▲ 가뭄 자료사진 ⓒ 연합뉴스

    충청남도와 세종시 등 금강 권역 자치단체가 폭염과 가뭄으로 속앓이를 하고 있다. 가뭄에 대비한 용수 확보가 절실하지만, 문재인 정부의 ‘보 개방 논리’와 상충될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13일 문화일보 보도에 따르면 금강 백제보 상류 백제양수장에서 예당저수지로 하루 13만t의 용수가 지난 9일부터 공급되고 있다. 용수는 1100억 원을 들여 지난 2월 준공된 28㎞ 길이의 금강 공주보∼예당저수지 간 도수로를 통해 공급되고 있다.

    차령산맥 이북 지역 농민들은 이를 통해 처음으로 금강 물을 공급받게 됐다. 그럼에도 사업 주체인 농어촌공사와 관계부처 환경부 금강홍수통제소, 충남도 등은 이에 대한 보도자료를 배포하지 않았다.

    도수로 사업은 ‘4대강 사업에 명분을 주는 사업’이란 이유로 4대강 사업 반대 단체가 강력히 반대했던 사업이었기 때문이다.

    긴급 용수 공급으로 급한 불은 껐지만 충남도의 고민은 여전하다. 정부의 보 개방 조치로 금강 용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예산 지역으로 물 공급이 계속될 경우, 금강 수위 저하로 부여 등 본류 주변 농민들의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에 금강홍수통제소는 하천수 사용을 허가하면서도 ‘8월 31일까지 총 300만 t 공급’이라는 제한 조치를 걸었다. 하류 지역 농민 민원 발생 시엔 즉시 용수 공급을 중단한다는 ‘조건’도 달았다.

    현재 백제보의 수위는 4.0m 수준이다. 지난해 정부의 보 개방 조치로 4.2m에서 2.5m까지 떨어졌다가, 농민들의 반발로 다시 올린 수치다. 충남도는 가뭄 장기화에 대비해 종전처럼 보 수위를 환원하자는 건의를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지만 공식 거론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

    세종시 역시 세종보 완전 개방의 후유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그럼에도 땜질식 임시방편에만 몰두하고 있다. 현재 세종보 하류는 가뭄으로 강바닥이 드러나 쩍쩍 갈라진 사막 같다.

    보 개방으로 인한 녹조가 자연환경을 회복할 것이라는 지역 환경단체의 발표와는 달리, 얕게 고인 물에선 녹조가 썩고 있다. 세종시는 지난 3월 세종보 상류에 새로운 자갈보를 쌓아 막는 공사까지 진행했다. 이는 세종보 개방으로 세종호수공원과 방축천 등 시내 하천에 공급할 금강 용수가 마르자 강구한 대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