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방안이 공개되면서 대학별로 다소 긴장감 섞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교육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 전형을 확대하겠다며 재정지원 사업 연계를 강조한 상황이다.
수능 평가방법이 상대평가 유지로 가닥이 잡혔지만, 수능 개편으로 현재 고교 1학년이 대입 재도전에 나설 경우 다소 불리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17일 교육부가 대학별 2020학년도 수능 전형 비율을 집계한 자료를 살펴보면 수능 전형 30% 미만 대학은 35개교로 이중 포항공대(포스텍), 한동대, 대구예술대, 예원예술대, 영산선학대 등은 수능 전형 선발이 아예 없었고 고려대, 부산가톨릭대, 인하대, 총신대, 한림대, 한서대 등은 10%대 비율을 기록했다.
이들 대학이 수능 전형 비율을 30%로 늘린다면, 수능 위주 전형 신입생 선발 규모는 5354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교육부는 2022학년도 대입 개편안을 확정하면서 수능 위주 전형 비율을 30% 이상으로 확대되도록 각 대학에 권고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정시 확대를 예고한 교육부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재정지원사업)을 재설계한다는 입장을 보였고, 30% 미만 대학은 사업 수주를 위해선 적정 비율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가이드라인은 2020년 사업 재설계를 통해 합리적인 부분을 마련할 것이다. 수능 위주 전형 30% 이상인 대학에 참여 기회를 주는 것으로, 비율이 높다고 가삼점을 부여하는 부분 것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A대학 관계자는 "현재 수능 전형 비율이 30% 미만이어서, 어떻게 준비해야할지 입학 관련 부서에서 추진할 듯하다"고 말했다
B대학 측은 "30% 이상 선발 비율인 대학은 안도할 거 같다. 적정 비율을 갖춰야만 사업 참여 여부가 가려지기 때문에 기준 충족이 관건일 듯하다"고 전망했다.
2019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적성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은 12개교로 4335명을 선발한다. 교육부는 적성고사가 수시모집 취지 등을 교란한다는 지적이 있다며 2022학년도부터 폐지하기로 했다.
C대학의 한 관계자는 "적성고사 폐지가 2022학년도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향후 상황을 지켜봐야 할 거 같다"며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이만기 유웨이중앙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적성고사는 중위권 학생들의 수도권 대학 진학을 위한 돌파구였다. 이를 없애 버린 것으로 내신 부담감은 커졌다. 적성고사 전형은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현재 중3은 새로운 수능에 응시하게 된다. 수능 체제 개편으로 국어, 수학, 직업탐구는 공통+선택형 구조로 치러지며 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를 적용한다. 사회·과학탐구는 문·이과 구분 없이 총 17개 과목 중 2개 과목 선택이 가능해진다.
국어, 수학, 탐구 영역은 상대평가를 유지하지만 선택 과목 도입에 따라 수험생은 과목 조합을 두고 다소 고민에 빠질 가능성이 남겨져 있다.
제2외국어/한문의 경우 아랍어 쏠림 현상이 줄고, 일본어 응시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2018학년도 수능에서 제2외국어 선택자의 73.5%가 아랍어였다. 절대평가 도입으로 상위 등급이 어렵게 되어 응시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본어 과목 응시는 40% 정도로 가장 높을 것으로 보이며 프랑스어 및 독일어는 10%대, 러시아어·베트남어·아랍어 등은 각각 1% 내외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종로학원은 수능 개편으로 국어, 수학은 특정 선택과목으로 쏠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수능 개편이 예고된 상황에서 정시 확대로 사교육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만기 소장은 "수능 위주 전형 선발인원이 늘어나, 사교육 시장이 좋아질 것"이라며 "정시 확대로 재수학원이 활성화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수능 전형 30% 이상 권고는 대학 참여도 중요하지만 학교와 학생, 학부모의 협력도 중요하다. 수능 비율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찬반이 극심했다는 점에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교총은 "수능 출제 과목의 경우 선택과목으로 문·이과형 수능과 별반 다르지 않다. 2015 개정교육과정-수능 간 미스매치가 발생되는 한계가 있지만 최대한 교육과정을 살리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