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0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에서 '스마트시티 연계서비스 표준화' 설명회 개최
  • 국토교통부가 도시 안전서비스에 필요한 표준과 공통 UI(사용자 환경)를 마련하고 이달 30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에서 기업과 지자체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연계서비스 표준화'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표준화는 업계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빠른 기술혁신 속도에 대응하기 위해 단체표준으로 마련했다. 표준화 과정에는 경찰, 소방. 지자체와 민간 솔루션 기업 등이 폭넓게 참여했다.

    기존에는 정부 연구개발(R&D)로 개발한 연계 서비스만 도시 안전망 구축 사업에 활용했으나 앞으론 민간 기업이 개발한 다양한 서비스도 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와 관련된 긴급한 상황 발생 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지자체, 경찰, 소방 등 국가 재난안전체계의 연계 운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2015년부터 관계 기관 간 업무협약(MOU)를 통해 지자체와 경찰, 소방 등 공공안전 분야를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으로 연계하는 스마트 도시 안전망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2022년까지 기업·혁신도시, 주민 30만 명 이상의 전국 80개 지자체에서 도시 안전망 연계를 우선 추진할 계획으로 올해 말까지 22개 지자체의 구축 사업이 완료된다.

    이정희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스마트시티는 도시 공간에서 다양한 서비스 및 시스템 간의 연계를 통해 운영되므로 연계규격, 인터페이스 사양 등에 대한 표준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표준화를 계기로 국민 안전서비스가 한층 업그레이드 되도록 안전기관 간 정보시스템 연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