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해년, 새해가 밝았지만, 자동차 산업에 대한 전망은 밝지 않다.
대부분 전문가는 자동차 산업과 관련해 올해 내수와 수출, 수익성 모두 감소할 것이란 우울한 전망치를 내놨다.
◆美·中 판매부진 올해도 우울
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는 지난해의 경우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에도 불구하고 주력 모델 출시가 줄었고 수입 브랜드 강세로 인해 시장점유율이 하락 등 내수 시장이 힘겨웠다고 진단했다.
올해 역시 내수 시장에서 국내, 해외 업체 간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돼 내수 시장은 2.2%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은 보호 관세와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 발효 등에 따른 미국시장 수출 물량 감소와 한국GM과 르노삼성의 수출 계약 만료의 영향으로 5%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 미국의 경우 기준금리 인상으로 할부금리가 동반 상승하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될 것이란 우려가 크다.
중국 시장도 녹록지 않다. 중국은 2015년부터 소형차 취득세를 감면해주는 정책을 펼쳐온 결과 2016년 자동차 수요가 전년 대비 13.7% 증가했다.
그러나 올해는 이 같은 부양정책을 펼칠지 미지수다. 여기에 가성비를 무기로 한 중국 로컬업체의 부상으로 현대·기아차 중국 법인은 적자 상태로 전환됐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중국과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8.6%, 18.1%다. 사실상 두 지역의 판매 실적이 개선되지 않는 이상 수익성 회복은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車 부품업계 구조조정 공포 엄습
자동차 업체들의 판매 부진은 국내 제조업체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준다. 특히 자동차 부품업체의 먹구름이 짙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86개 상장회사 중 영업적자 비중은 2015년 10.5%에서 2018년 32.6%로 3배 상승했다.
여기에 한국지엠의 군산공장이 완전 폐쇄로 일단락되면서 협력업체의 수익성 부진이 지속될 전망이다.
일단 정부는 부품업체에 긴급 자금지원을 결정했다.
정부는 자동차부품업계에 대해서는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서 우대 보증을 통해 1조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 자동차 등 주력 산업의 구조조정 및 산업 고도화를 위해 연내 15조원 규모의 정책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할 계획이다.
급한 불을 끄겠단 전략인데 반면에 금융회사는 부실 부품사에 대한 신규대출 및 만기연장 중단 등 본격적으로 자금 회수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다.
◆위기극복 돌파구 친환경차 주목
전통적 자동차 산업의 위기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극복할 대안으로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과 연계된 체질 개선이 필요하단 진단이다.
특히 수소전기차는 플랫폼, 인프라 성격으로 산업생태계 혁신과 고용을 창출하는 등 주력 산업의 구조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단 기대감이 높다.
이미 주요 선진국은 친환경차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일본은 2016년 4대 혁신전략 중 하나로 2030년 수소사회 구현을 위한 추진 전략을 수립했다.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80만대, 수소충전소 900개 구축을 목표로 삼았다.
미국은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2020년까지 수소전기차 10만대, 수소충전소 100개를 구축할 예정이다.
독일의 경우 민관 협조 체제하에 SPC를 설립하고 2020년까지 수소전기차 15만6000대, 수소충전소 373개를 구축 중이다.
우리나라도 뒤늦게 수소차에 대한 투자를 시작했다. 2022년까지 1만6000대 보급을 목표로 수소차, 스택공장 증설 등 2조5000억원의 투자 규모를 결정했다.
그리고 주요 부품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로 125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산업혁신을 통해 2022년까지 1만1000명의 일자리 창출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