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들이 배우고 싶은 것을 학교에서 실현하는 ‘꿈의 학교’, 개별 학교가 의사 결정권을 갖는 ‘자치 학교’.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이 내세운 핵심 가치다. 그가 지휘봉을 잡은 지난 5년간 경기교육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지난 4일 경기도 인터넷·신문 기자단은 이재정 교육감을 만나 경기교육의 현재와 나아갈 길을 물었다.
꿈의 학교는 ‘아이들을 위한 진짜 교육’을 찾자는 고민에서 시작됐다. 지역 내 교육 기관이 참여해 교과서 외 다양한 체험활동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올해는 총 1908곳의 꿈의 학교가 운영되며, 지난해(1140곳)보다 768곳 늘어난다.
이 교육감은 “올해 1학기 도내 3만8000여명의 아이들이 꿈의 학교에 참가한다. 2015년에 시작해 5년 차를 맞았는데, 아이들이 매년 놀랍게 변하고 있다”면서 “꿈의 학교는 국내와 해외를 통틀어 경기도가 유일한 사례로, 현재 이를 연구하는 교육학자도 있다”고 설명했다.
꿈의 학교 프로그램엔 제한이 없다. 스스로 작곡해 음원을 등록하는 ‘콩나물 학교’, 마을 역사를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는 ‘영상 학교’, 힙합과 랩을 연구하는 ‘힙합 학교’, 드론 조종을 배우는 ‘드론 학교’, 세뱃돈으로 주식투자를 배우는 ‘금융 학교’ 등 기존 교과과정에서 접하기 힘든 다양한 활동으로 가득 차 있다.
-
이 교육감은 “다년간 우수사례로 꼽히는 김포 콩나물 학교의 경우 음악을 배워본 적 없는 학생들이 입학한다. 프로그램에선 작곡법을 가르치는 게 아니라, 좋아하는 노래를 해봐라. 흥얼거린 노래를 써보라고 지도를 한다”면서 “전문적인 교육 없이도 아이들이 1년 만에 제 작품을 만들고, 음원을 등록해 수익까지 낸다. 이렇게 아이들이 상상하는 것을 마음껏 펼칠 수 있게 하는 것이 꿈의 학교 목표”라고 설명했다.
학교 운영비 자율화를 골자로 한 ‘학교 자치’에 대한 이야기도 이어졌다. 이 교육감은 올해를 학교 자치의 원년으로 만들겠다며 학교 기본운영비를 증액하고, 개별학교에서 자유롭게 지출하게 했다.
이 교육감은 “올해를 학교 자치의 원년으로 만드는 게 목표다. 기본 운영비를 지급할 때 편성과 집행권을 각 학교에 부여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라며 “교육은 교육청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닌, 학교 구성원 간 고민과 논의로 결정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5년간 도 교육감을 맡으며 느낀 문제는 내부에서 우리 학교를 어떻게 만들까, 어떤 프로그램을 운영해볼까 등 구성원 간 토론의 장이 없었다는 것”이라며 “경기도의 경우 각 지역마다 환경이 달라 학교마다 이 같은 고민이 필요하며, 제도 도입 후 학교 현장에서 만족한다는 의견이 들려온다”고 덧붙였다.
-
최근 논란이 됐던 교내 비품 ‘전범기업 스티커’ 부착 반대 입장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지난달 황대호 도의원(더불어민주당·수원4)은 경기도교육청과 직속 기관, 교육 지원청, 각 학교가 사용하는 20만원 이상 전범 기업 생산 제품에 인식표를 부착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현재 해당 조례는 보류된 상태다.
이 교육감은 “도 조례는 법률이 정한 범위 내에서 만들어야 하며, 현재 관련 법엔 전범 기업을 정의하는 명확한 기준이 없다”면서 “해당 조례가 좋고 나쁨을 떠나, 법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을 문제 삼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3.1혁명 100주년을 맞은 올해 관련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졌다는 점엔 공감하며, 도내 학생들의 역사 교육도 이를 바탕으로 이뤄져야 한다”면서 “올 한해는 학생들 스스로가 역사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역사 현장체험학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를 포함 수도권 전역에서 논란이 됐던 ‘한유총(한국 유치원 총연합회) 사태’에 대한 입장도 재차 밝혔다. 이 교육감은 유아교육의 공공성·투명성 확보와 사립유치원의 에듀파인(국가 관리회계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교육감은 “현재 도내 유아교육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공성과 투명성이다. 에듀파인 도입은 유치원 입장에서도 사회와 학부모로부터 신뢰를 회복할 기회”라며 “에듀파인 도입을 거부하고 폐원을 강행하는 유치원과 더 이상의 대화는 없을 것이며, 도 교육청 차원에서 진행하는 한유총과 협상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에듀파인 도입과 관련한) 우려에 대비해 이번 연말까진 시범 기간을 두고 운영할 계획”이라며 “컴퓨터 등 프로그램 관련 장비, 지도 인력 등은 교육청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