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년새 반토막… 서울은 76% 급감봄 이사철 불구 거래절벽 '늪' 헤어나지 못해입주폭탄 속 구매심리까지 꽁꽁… '장기 침체' 조짐 확산
  • ▲ 서울 송파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밀집 상가. ⓒ연합뉴스
    ▲ 서울 송파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밀집 상가. ⓒ연합뉴스

    지난달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이 지난해에 비해 절반 이상 줄어들면서 '거래절벽' 쇼크가 확산되고 있다. 봄 이사철에도 거래절벽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면서 주택시장의 장기 침체 전조가 시작됐다는 민간연구기관의 경고도 나오기 시작했다.

    19일 국토교통부의 주택 매매거래량 자료를 보면 서울의 3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5633건으로, 지난해 3월 2만4122건에 비해 76.6% 급감했다. 3월 거래량 기준으로는 2006년 실거래가와 거래량 조사가 시작된 이후 13년 만의 최저치다.

    전국 기준도 마찬가지다. 전국의 3월 거래량은 5만1357건으로 전년 9만2795건 대비 44.7% 줄었다. 최근 5년 평균 9만9952건보다도 42.9% 줄었다.

    3월 거래량은 3월에 신고(계약일로부터 60일 이내)된 자료를 집계한 수치다. 올 들어 3월까지 1분기 누계 거래량은 14만508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3만2828건에 비해 37.7% 줄어들었다. 이는 2013년 14만1000건 이후 6년 만에 가장 적은 거래량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겨울 비수기를 지나고 봄에 거래 성수기를 맞는데도 저조하다"며 "매수자도 주택가격이 더 내려가길 기다리고, 매도자는 호가를 떨어뜨리지 않다보니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2만2375건)의 경우 58.7% 줄었으며 지방은 3만86512건에서 2만8982건으로 25% 감소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아파트 거래량은 3만1760건으로 지난해 보다 48.8%, 아파트 외 단독·연립주택 등의 거래량 1만9597건은 36.3% 줄었다. 아파트 거래량도 서울 지역의 감소 폭이 두드러진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813건으로, 지난해 보다 87.6% 줄었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3월의 경우 4월 양도소득세 중과를 앞두고 거래량이 이례적으로 늘어나 더 많이 감소한 것처럼 보인다"며 "통상 3월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만건 안팎으로, 2017년의 경우 6802건이었다"고 설명했다.

  • ▲ 월별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좌) 및 연도별 3월 누계 주택 매매거래량 그래프. ⓒ국토교통부
    ▲ 월별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좌) 및 연도별 3월 누계 주택 매매거래량 그래프. ⓒ국토교통부

    민간에서는 2012년과 같은 주택거래시장 장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기 시작했다.

    손은경 KB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매매거래량 변화는 주택 경기의 선행지표 역할을 한다"며 "최근 분위기는 2012년 전후 주택거래시장 위축이 장기화하는 모습과 유사하다"고 내다봤다.

    2012년 당시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약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으며 주택가격 하락도 본격화했다. 국내 경기 불확실성과 가계부채 증가, 주택수요 계층 감소, 글로벌 경기 불안 등 대내외적인 요인이 맞물리면서 시장 위축이 장기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2년 전후 월 평균 주택거래량은 약 5만8000건으로, 10년 평균에 비해 24% 감소한 수준이었다. 현재 거래량은 이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당시에는 2년간 4건의 주택거래 활성화 정책을 통해 주택거래량도 2013년 하반기부터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지금은 정책 기조가 변경될 가능성이 제한적이라는 것이 연구소 분석이다.

    손은경 연구위원은 "2019년에도 중요한 정책 과제, 주택가격 안정화라는 정책 기조의 변경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방의 경우 2018년 신규 입주물량이 약 13만가구로 주택시장 부진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는데, 올해 약 19만가구가 더 공급될 예정인 만큼 지방 주택경기 침체를 가중시킬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주택거래시장 침체에 따른 주택가격 하락, 미분양 증가, 전세보증금 반환 어려움 등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고 판단했다.

    손 연구위원은 "수도권의 경우 주택 투자수요뿐만 아니라 실수요자들의 매수심리도 크게 위축되면서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전세보증금 반환을 위해 현재 보유한 주택을 매각하고자 해도 거래시장 침체로 매도가 쉽지 않아 악순환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최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2019년 3월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19~29일 실시된 표본조사에서 전국 152개 기초자치단체의 지역거주가구 6680명 중 73.3%는 주택구입계획에 대해 '12개월 이후'라고 답했다.

    앞서 실시된 지난해 12월 응답률 73.7%에 비해서는 0.4%p 낮아졌지만 관망세가 여전히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