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성균관대 의뢰 ‘의약품 공급·구매 체계’ 연구연평균 ‘3.4%~5%’ 수준의 연구개발비 증액 필수적 장기적 관점의 민간투자 등 분위기 조성 선결과제
  • ▲ 국내 개발 신약공급에 따른 소요 비용. ⓒ국민건강보험공단
    ▲ 국내 개발 신약공급에 따른 소요 비용. ⓒ국민건강보험공단
    2030년까지 국내에서 32개의 신약이 공급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 과정에서 18조5000억원 이상의 연구개발비가 지속적으로 투입돼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붙었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성균관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의약품 공급 및 구매체계 개선연구’를 실시했다. 

    이번 연구에서 주목할 부분은 추후 국내 신약 공급구조에 대한 진단이 있었다는 점이다. 

    현재 임상단계의 파이프라인은 1상 84건, 2상 58건, 3상 31건으로 조사됐으며, 단순 산술적 계산 결과를 통해 2030년까지 32개의 신약이 개발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를 토대로 소요금액 산정 결과, 약 18조5629억원의 연구개발비 투자가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연평균 1조 5469억원이 안정적으로 투입돼야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 제약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2030년까지 신약 32개 추가공급을 위해서는 투자의 양적인 확대가 선결과제로 거론됐다. 

    통계상으로 올해부터 2030년까지 11년간 18조5629억원의 투자를 위해서는 연평균 3.4%씩 연구개발비를 늘려야 한다. 2030년 예상 투자규모는 2조2000억원 수준으로 현재 연간 1조3000억원 대비 약 70%의 성장이 수반돼야 한다. 

    다만, 이 수치는 환경변화를 감안하지 않은 보수적 접근방식에서 나온 값으로 실제로는 보다 큰 규모의 투자를 고려해야 한다는 제안이다. 

    연구진은 “통계적으로 보면 연간 3.4%의 연구개발비를 증액시켜야 한다고 제시됐지만 실은 5% 이상의 투자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소요금액 계산 및 성장 예상수치는 인플레이션이나 자본비용을 적용하지 않는 계산이며 추가적 임상 파이프라인 유입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 큰 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금융시장 역할 확대가 관건 

    신약개발 과정에서 긴 기간이 필요한 만큼 안정적인 자금조달 문제가 중요하다. 하지만 금융시장 측면에서 이해도가 떨어지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이를 개선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연구진은 “제약을 포함한 바이오헬스 기술 사업화에 특화된 투자 인프라가 부족하다. 때문에 기술거래 시장이 활발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의약품 개발 단계 중 후기에 해당하는 기술이전, M&A 등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금력이 풍부한 국내 대기업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또 벤처 금융 역시 장기적이고 모험적인 투자를 통한 고수익 창출 보다는 단기적 전환사채 투자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는 진단이다. 

    연구진은 “융합·개방형 연구개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관련 규제와 세금은 줄이고 혁신 활동 지원은 늘려야 한다. 연구 주체별, 부처별 특성이 고려된 다학제 연구를 위해 상업화 주체의 역할을 강화하고 연구비 관리규정도 손질을 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연구개발, 임상시험, 인허가, 제조 및 생산, 판매 단계에서 직면하는 규제가 서로 연계되지 않은 상태다. 지식-창업-민간자금 연계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면서 바이오산업 및 투자 전문가 육성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