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과 삼성SDI가 지난해 8월부터 발생한 5건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원인이 배터리 이상이라는 조사단의 발표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ESS 화재 2차 조사단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5건의 ESS 화재와 관련, '배터리 이상(4건)'과 '외부 이물 접촉(1건)'을 화재 원인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10월 2차 조사단이 발족된 지 약 5개월 만이다.
95% 이상의 높은 충전율 조건으로 운영하는 방식과 배터리 이상 현상이 결합돼 화재가 발생했다는 것이 이번 2차 조사단의 최종 검증 결과다.조사단의 검증 결과를 보면 배터리 이상으로 지목된 ESS 설치 현장은 △충남 예산군(8월30일) △경북 군위군(9월29일, 이상 LG화학) △강원 평창군(9월24일) △경남 김해시(10월27일, 이상 삼성SDI) 등 4곳이다.
경남 하동군(10월21일, LG화학)의 경우 노출된 가압 충전부에 외부 이물이 접촉해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대상 5곳 중 4곳이 배터리 이상으로 판명되면서 ESS 화재는 사실상 배터리 문제로 결론지어지는 모습이다.하지만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 업체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LG화학과 삼성SDI는 이날 조사 결과에 대해 조목조목 이유를 대며 반박했다.
공통적으로는 "100% 재현 검증이 아닌, 동일시기에 제조돼 다른 현장에 운영 중인 배터리를 통해 검증한 만큼 화재 원인으로 지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ESS 배터리는 유일하게 에너지를 갖고 있어 화재 확산의 역할을 하는 것이지, 점화원은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이에 2차 조사단에 참여한 김권중 전기안전연구원장은 "ESS 설치 현장이 화재로 소실되는 등 어려움이 있었지만, 동일시기 및 동일 제품으로 화재 당시와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조사를 진행했고, 제한된 환경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한 것"이라며 "배터리 업계의 입장도 충분히 들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LG화학은 예산 ESS 현장에서 배터리 용융 흔적을 발견했다는 조사단 분석에 대해 "배터리 외 다른 부분에서 화재가 발생해도 화재가 배터리로 전이돼 용융 흔적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이를 근거로 배터리 내부발화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일부 파편이 양극판에 점착된다고 하더라도 저전압을 유발할 수는 있으나, SRS분리막을 관통해 발화로 이어질 위험성은 없다"며 "리튬석출물은 리튬이온이 전해질을 통해 음극과 양극 사이를 오가는 사이 자연스럽게 생길 수밖에 없는 물질로, 자체 실험을 통해서도 리튬 석출물 형성이 배터리 내부 발화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삼성SDI도 "조사단이 분석한 내용은 화재가 발생한 사이트가 아닌 동일한 시기에 제조돼 다른 현장에 설치, 운영 중인 배터리를 분석해 나온 결과"라며 "조사 결과가 맞는다면 동일한 배터리가 적용된 유사 사이트에서도 화재가 발생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김해 ESS 현장에서 배터리간 전압편차 상승, 분리막·양극판 갈변, 황색반점 확인 등을 내세운 조사단 발표에 대해 "전압편차는 충전율이 낮은 상태의 데이터로, 이는 에너지가 없는 상태에서의 차이인 만큼 화재가 발생할 수 없다"며 "황색반점의 경우도 모든 배터리 사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조사단 결과는 모두 다 추정일 뿐이지, 과학적 근거가 정확히 제시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로 배터리업계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80%나 차지하고 있는 ESS 사업에서 신뢰도가 대폭 깎일 수밖에 없게 됐다. 업체들이 조사결과에 반발하면서도 즉시 고강도 종합안전대책을 꺼내든 이유이기도 하다.
LG화학은 2017년 중국 난징공장에서 생산된 ESS배터리에 한해서만 전량 자발적 교체를 진행키로 하고, 올해 국내 ESS 설치 현장에 화재 확산 특수 소화시스템을 적용키로 했다.
삼성SDI 역시 기존에 추진 중인 특수 소화시설을 올 상반기 내 작용 완료할 예정이며 외부 환경적 요인이 ESS에 미치는 영향을 감지하는 모니터링 시스템도 구축한다.
또 다른 관계자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제품이 아니다보니 리콜 대상도 아니다"라며 "이번 조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어 자체 검증을 통해 데이터를 확보, 산업부 등에 의견을 전달하는 방법 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