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종 세종대 교수 "한국 수출의존도 75%, 보유외환 8300억달러 돼야"2010년 종결 한미 통화스와프 재체결 필요… 한일 통화스와프도 추진해야""외환보유고 9위 의미 없어… 한은, 위험자산 팔고 국채·달러 비중을 높여야"
-
세종대학교 김대종 경영학부 교수는 17일 코로나19 사태로 인구 이동이 금지돼 교역이 줄어들면서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제2의 IMF 외환위기에 처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수년전부터 논문을 통해 이런 우려를 제기해왔다. 2015년 미국 학술지 '비즈니스 앤 이코노믹스' 4월호에 실린 '신흥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적절한 외환 보유고' 논문을 비롯해 지난해 8월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외환보유고가 주가에 미치는 상관관계 연구'에서도 외환보유고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김 교수는 "국제결제은행(BIS)이 권고하는 수준인 외환보유고 8300억 달러 확대와 2010년 종료된 한미 통화스와프 재체결이 필요하다"는 견해다.
김 교수는 "코로나19는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보다 전파력이 1000배나 높고 팬데믹까지 불러왔다"며 "미국, 유럽 등 전 세계가 이동을 금지하면서 수요와 공급 위축, 실물경제 위기, 금융위기로 확대하고 있다. 2001년 9·11 테러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상으로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도 실물경제에서 금융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올 초부터 외국인은 12조원쯤의 한국주식을 팔았고 16일 한국은행이 역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0.75%로 내렸지만, 종합주가지수는 하락했다"면서 "무역의존도가 75%인 한국의 경상수지가 3월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의 국제금융 현황은 심각한 단계로 들어서고 있다. 현재 단기외채비율은 34%쯤으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며 "1년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단기외채는 국제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급격히 빠져나갈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고 부연했다. 김 교수 설명으론 이란이 지난 12일 IMF에 6조원쯤의 긴급자금을 요청했고, 이탈리아 터키,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파키스탄, 남아공 등도 외환 부족 국가다. 김 교수는 "국제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만큼 한미와 한일 통화스와프 체결로 조속히 외환보유고를 2배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적정외환보유고에 대한 이론은 4가지가 있다. 김 교수는 IMF가 권하는 3개월치 경상지급액 규모(1500억 달러)는 IMF 권고를 따랐다가 국가부도를 맞은 아르헨티나 사례를 들어 충분치 않다는 견해다. 김 교수는 IMF가 외국인 주식자금(15%)과 유동외채(30%) 등을 포함해 새롭게 제안하는 방식을 따르면 적정 외환보유고는 6810억 달러 규모로, 한국은 이보다 3000억 달러가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미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전 의장인 그린스펀과 기도티 모델로는 4500억 달러가 적정 외환보유고다. 마지막으로 BIS가 권고하는 3개월 경상지급액과 유동외채, 거주자 외화예금, 현지 금융잔액 등을 망라한 적정 외환보유고는 8300억 달러다.
-
김 교수는 "한국은행은 외환보유고가 세계 9위라지만, 의미 없는 순위일 뿐"이라며 "우리나라 GDP의 절반도 안 되는 스위스·홍콩·대만·사우디아라비아의 외환보유고가 한국보다 더 많다"고 꼬집었다.
-
김 교수는 한국은행의 외환보유고 운용도 문제 삼았다. 한국은행 외화자산 구성을 보면 국채 36%, 정부기관채 21%, 회사채 14%, 자산유동화채권(MBS) 13%, 주식 7.7%다. 회사채와 MBS는 부도 위험이 있는 위험자산이라는 게 김 교수 설명이다. 김 교수는 "한국은행은 언제든 인출할 수 있는 현금과 국채 중심으로 운용해야 한다"면서 "투자 3대 원리는 안전성·수익성·환금성이므로 (한은은) 모기지 채권은 팔고 국채와 달러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