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7월 첫주부터 상승세…올들어 1.07%↑ 물량감소·규제대책·교육재편·금리인하 상승요인 산적 떨어질 이유 없어 세입자 한숨 깊어져
  • ▲ ⓒ 연합뉴스
    ▲ ⓒ 연합뉴스

    집 없는 세입자들의 시름이 날로 깊어지고 있다.

    8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해 7월 첫째주를 기점으로 3월말까지 단차례 내림세 없이 오르고 있다. 주차로는 40주째다. 올들어 상승세가 다소 꺾이긴 했지만 여전히 플러스 변동률을 유지하고 있다.

    감정원의 '주간 아파트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올들어 1.07% 급등했다. 같은기간 서울은 0.79% 오르며 전국서 7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문제는 전세가격이 전혀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올해보다 내년이 더 큰 문제다. 

    첫번째 이유는 공급물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2021년 전국 입주예정 물량은 총 2만3217가구로 올해 입주물량인 4만2173가구의 절반수준이다. 입주물량 감소는 결국 전세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작년부터 올해까지 전국 4만가구 이상이 쏟아졌던 것에 비해 2021~2022년 연속 입주물량이 줄어들면 시중에 풀릴 전세물건도 줄어들수 밖에 없어 전세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지난해 발표된 12·16부동산대책도 전세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서울 등 규제지역내 9억 초과 주택에 대한 담보인정비율(LTV)을 20%로 축소한데다 시세 15억원초과 주택에 대해선 주택담보대출을 전면 금지해 매매시장을 옳아맨 까닭이다.

    즉, 매매를 원하더라도 대출이 막힌 탓에 비자발적으로 전세시장에 눌러앉으면서 전세매물 품귀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자사고·특목고 폐지와 대학입시 정시확대도 전세가격 상승을 부채질 하고 있다. 우수학군을 둔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가격이 눈에 띄게 뛰었다. 교육제도 개편 탓에 강남 대치동과 도곡동, 서초 반포동과 방배동이 올들어 강세를 보였다.

    실제 대치동·목동 등 학원가가 밀집해 있는 강남구와 양천구 전세가격은 올들어 각각 1.48%, 0.90% 오르며 서울 평균 전세가격 상승률 0.63%를 크게 앞질렀다.

    앞서 정부는 오는 2025년부터 자사고·특목고를 폐지할 것이라고 공표한 바 있다.

    지난 3월 단행한 기준금리 인하도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금리가 낮아지면서 예금금리도 함께 낮아진 만큼 집주인들은 기존 전세물건을 월세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대출규제로 현금동원력이 있는 사람만 주택구매가 가능해져 비자발적 전세수요가 부쩍 늘었다"면서 "전세물건 품귀현상이 지속될 경우 월세시장마저 동반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