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6G 시대 선도 전략' 공개 국제표준 선점, 생태계 강화 기반 주도권 확보6G 보안 내재화 기술 개발 병행도
  • ▲ ⓒ과기정통부
    ▲ ⓒ과기정통부
    정부가 '데이터 고속도로'의 미래로 불리는 6세대(6G) 이동통신에 대한 준비에 본격 착수한다. 내년부터 6G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2000억원을 투입하고, 6G 보안 내재화 기술 개발을 병행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일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6G 이동통신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이동통신 인프라는 국민 편의는 물론 사회와 산업 발전의 필수 기반기술로, 통상 10년 주기로 세대가 전환되고 있다. 특히 미국·중국 등 세계 주요국들은 5G 다음 세대 기술인 6G 선점 경쟁에 돌입한 상황이다. 

    6G 기술은 1Tbps급 전송 속도, 저궤도 위성통신 기반 공중 10km까지 확대된 통신 커버리지 등 5G를 뛰어넘는다. 기술적 진화를 통해 실시간 원격수술, 완전 자율주행차‧플라잉카 등 고도화된 융합서비스의 대중화가 가능할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 5세대 이동통신(5G) 상용화에 따른 성과에도 불구하고 ▲핵심부품의 높은 외산 의존도 ▲5G 기반 융합서비스(B2B) 확산저조 등이 과제로 남아있다.

    정부는 6G R&D 전략을 통해 미래 네트워크 주도권을 선점하고, 코로나 19 이후 가속화되는 비대면·디지털화에 대응해 나가겠다는 복안이다. 

    우선 도전적이고 선도적인 수준의 6G 핵심기술개발을 통해 5G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다는 방침이다. 6대 중점분야(초성능・초대역・초정밀・초공간・초지능・초신뢰) 10개 전략과제를 위해 5년간 2000억원을 투입한다.

    국제 표준화, 시장 요구사항 등 외재적 변화요인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해 사업시행 3년 후 사업 방향의 일부 재설정이 가능한 2단계 롤링플랜 방식(1단계 3년+2단계 2년)을 도입한다.

    미국, 중국 등 주요국간 기술 주도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을 고려해 각국의 선도 연구기관 및 표준화 단체와의 기술교류 및 공동연구 추진 등 국제공조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기술개발이 완료되는 2026년부터는 5G+ 5대 서비스에 Pre-6G 기술(상용화 전)을 적용하는 6G-Upgrade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내년부터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국제 표준화 단계별 선제연구와 국제공조 강화를 통해 표준경쟁에서 불확실성을 최소화 하기로 했다. 특허청과 협력해 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집중 발굴하는 표준특허 전략맵도 구축한다.

    표준 전문조직(연구실) 육성, 국제 표준화 회의 국내 유치, 우리기업의 국제 표준화 활동지원 등을 통해 국제표준화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역할‧기여도를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다.
     
    6G 핵심기술 요구 성능 검증과 핵심부품‧장비의 국산화에 활용될 수 있는 시작품(HW, SW)도 개발한다. 상용화 시점에는 유망 중소기업의 기술 사업화를 위한 바우처 방식 R&D를 지원한다.

    아울러 산·학·연 전문가의 역량 결집을 위해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6G R&D 전략위원회'와 '6G 핵심기술개발 사업단'을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정부는 6G R&D 전략을 통해 ▲6G 핵심표준특허 보유 세계 1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장비 시장 점유율 세계 2위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5G에서는 부족했던 소부장 분야를 육성해 국내 네트워크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며 "이와 함께 6G 관련 보안 산업과 융합서비스 시장도 발굴,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