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후 처음으로 창원 본사 방문가스터빈 개발 현황 확인… 산업 생태계 확대 노력 당부풍력기술센터에 이어 두번째 두산중공업 격려
  • ▲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후 그린 뉴딜 현장인 경남 창원시 두산중공업을 방문, 가스터빈 고온부품공장을 시찰한 뒤 가스터빈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후 그린 뉴딜 현장인 경남 창원시 두산중공업을 방문, 가스터빈 고온부품공장을 시찰한 뒤 가스터빈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두산중공업 창원 본사를 직접 방문했다.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탈바꿈한 두산중공업의 또 다른 도전에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다.

    17일 문재인 대통령은 경상남도 창원에서 열린 '한국형 뉴딜 스마트 그린 산단’ 행사 참석을 마친 뒤 두산중공업 창원 공장을 찾았다.

    이날 방문에는 문 대통령을 비롯해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경수 경상남도 도지사,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 김준섭 진영TBX  사장을 비롯한 협력사 대표 등이 함께했다.

    그린뉴딜에 발맞춰 친환경 에너지 분야 육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는 두산중공업은 이날 문 대통령을 비롯한 참석자들에게 친환경 에너지 사업 현황과, 세계 다섯 번째로 개발에 성공한 가스터빈 현황을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해상풍력, 수소액화플랜트, 연료전지 등 그린뉴딜 제품군을 관심있게 둘러봤다.

    특히 가스터빈 블레이드와 연소기, 가스터빈 본체 등을 유심히 살펴본 뒤 가스터빈 블레이드에 “대한민국 중공업의 힘! 문재인“이라고 서명하기도 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7월 17일 전북 부안 소재의 재료연구소 풍력핵심기술연구센터를 방문해 두산중공업의 해상 풍력 기술 발전노력에 대해 감사 인사를 전한 바 있다.

    당시 문 대통령은 "해상 풍력발전을 국가적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한 게 10년도 더 돼 여러 대기업이 사업단을 꾸렸다가 철수했는데 두산중공업이 포기하지 않아 오늘의 수준에 이르렀다"며 "특별히 감사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두산중공업의 노력과 성과에 다시 한번 치하의 말씀을 드린다"고 거듭 강조했다.

    두산중공업은 탈원전, 탈석탄 등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그룹 전체가 나서 중공업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구안 이행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스터빈, 해상풍력, 수소, 연료전지 등 친환경 에너지분야가 전환의 대상이며 관련 산업의 생태계 확대에도 적극 힘을 기울이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2013년부터 한국형 표준 가스터빈 모델 개발 과제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지난해 세계 다섯 번째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독자모델 개발에 성공했다. 341개 중소중견기업, 20개 대학, 3개 정부출연연구소 등 국내 산·학·연이 함께 협력해 이뤄낸 성과다.

    두산중공업은 그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발전용 가스터빈의 국산화 · 상용화를 위해 1조 원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해 왔다. 2034년까지 국내에서 약 20GW 규모의 가스발전 증설이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 시장을 집중 공략하며 국내 가스터빈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한국형 표준 가스터빈 모델의 해외 수출을 적극 추진하고, 가스터빈 서비스 사업도 현재 프로젝트 수행 중인 미국, 멕시코 외에 이집트, 사우디 등으로 수주를 확대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신재생에너지 부문에서는 풍력, 에너지저장장치(ESS) 역량을 기반으로 한 통합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국내 유일의 해상풍력 실적 보유 기업으로, 탐라해상풍력, 서남권해상풍력에 풍력발전기를 공급했다. 3MW, 5MW 등 해상풍력발전기 모델을 자체 보유하고 있으며, 8MW 대형 신규모델은 2022년 개발 완료 예정이다.

    두산중공업은 창원시와 함께 국내 최초 수소액화플랜트 사업을 추진하는 등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는 수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춰 나가고 있다.

    특히 두산퓨얼셀 대주주의 보유 지분 무상증여를 통해 두산퓨얼셀의 최대주주가 될 예정이어서 수소 사업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기대된다.

    두산중공업 박지원 회장은 "국내 친환경 에너지 대표 기업으로서 그린뉴딜 정책에 부응하는 우수한 제품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공급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가스터빈, 해상풍력, 수소사업 등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도 적극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