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점포폐지 절차 강화…비대면 흐름 못 꺾어상반기에만 50곳이상 문 닫아…'디지털' 비중 ↑ 지방銀, 핀테크 플랫폼 강화·수도권 공략
  • 지난해 시중은행 지점이 100곳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비대변 바람 속에 올 상반기에는 50곳이 추가로 감축될 예정이다. 

    반면 지방은행은 전략적으로 점포를 큰 폭으로 줄이거나 늘리지 않고 고객 수요에 맞춰 점포 변화를 맞춘다는 계획이다. 

    ◆ 국내은행 지점수 1년새 166곳 감소

    6일 금융권에 따르면 2020년말 기준 국내은행의 지점수는 5659곳으로 1년 전보다 166곳이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중은행의 지점 축소가 두드러졌다. 2020년말 시중은행의 지점은 3139곳으로 2019년 3256곳보다 117곳이 줄어든 규모다. 시중은행의 출장소 역시 407곳으로 전년(528곳)보다 121곳이 감소했다. 

    같은기간 지방은행의 지점은 747곳에서 711곳으로 36곳 감소하는 데 그쳤다. 

    올해도 이러한 점포 축소 기조는 계속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의 점포 폐쇄 절차를 강화했으나 비대면·디지털 변화의 흐름을 꺾기엔 역부족인 모습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인터넷뱅킹 이용 실적 중 모바일 비중은 77%에 달하는 데다 일평균 거래액은 9조원에 달했다. 
      
    ◆ 시중은행 점포 감소 경향 올해도 '뚜렷'

    당장 상반기에만 50곳이 넘는 시중은행 지점이 문을 닫는다. 

    KB국민은행은 지난 1월 25일에 천호동·검단사거리 등 총 영업점 20곳의 문을 닫았다. 올 하반기 추가 점포 정리 계획을 검토중이다. 

    신한은행은 올해 원효로·서울상수도사업본부 등 지점 5곳의 문을 닫았다.   

    하나은행은 지난 1,2월 역삼동 지점을 인근 지점으로 통합한 데 이어 6월에는 구리· 광명·정자동 등 7개 영업점을 폐쇄한다. 

    우리은행 역시 지난 2월 분당정자지점을 두산타워금융센터로 통합한 데 이어 5월 6월에도 줄줄이 점포 및 출장소가 통폐합 된다. 올해말까지 50개 영업점이 문을 닫을 전망이다.  

    ◆ 지방銀, 핀테크 손잡고 수도권 공략 

    지방은행의 경우 공격적인 점포폐쇄의 흐름은 보이지 않는다. 대신 디지털 바람에 발맞춰 핀테크 플랫폼 진출과 수도권 영업망 구축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BNK경남은행은 토스, 핀다, 뱅크샐러드 등 10여개 플랫폼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출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또 광주·전북은행 역시 토스, 카카오페이에, 대구은행은 토스, 카카오페이를 통한 상품을 제공한다.   

    지방은행은 수도권 공략도 적극적이다. 

    대구은행의 경우, 기업이 많이 위치한 수도권을 공략하고 있다. 서울내 지점은 3곳이지만 인천, 경기지역에는 8곳이나 된다. 부산· 경남·대구·전북·광주·제주은행 등 6개 지방은행의 수도권 점포수는 72곳이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점포 정리가 아닌 조정 수준"이라며 "고객 수요가 줄고, 늘어나는 부분에 따라 변화를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