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이후 무급휴직 전환임금 50% 보전… 상한액 198만원LCC 어려움 극심… "맞춤 지원 절실"
  • ▲ 주기장에 세워진 항공기들 ⓒ 연합뉴스
    ▲ 주기장에 세워진 항공기들 ⓒ 연합뉴스
    항공업계가 무급휴직 공포에 떨고 있다. 지난 6월 중 3개월 연장된 정부 고용유지지원금이 곧 중단되기 때문이다. 대부분 항공사는 9월 이후 지원 종료에 대비해 무급휴직 전환을 준비 중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항공업 종사자는 현재 임금 중 70% 가량을 유급휴직 수당으로 보전받고 있다. 이중 90%는 정부 지원금으로 충당하며 나머지 10%는 회사에서 부담한다. 연간 180일까지 지원하며, 최대 90일 연장 가능하다.

    이후에는 무급휴직으로 전환한다. 무급 전환 시 임금의 50%를 보전받으며 상한액은 198만원이다. 해당 금액도 정부가 지원한다. 300만원이 월 급여인 직원은 150만원을, 500만원이 월 급여라면 198만원까지 지급하게 된다.

    업계는 무급휴직 전환을 준비 중이다. 화물 등 여객 대체사업으로 일부 수익이 발생하는 대형항공사(FSC)는 비교적 여유가 있지만, 저비용항공사(LCC)는 당장 직원 동의 등 관련 절차에 분주한 모습이다.

    에어부산은 11월부터 1월 까지 전 직원을 대상으로 2개월간의 무급휴직을 시행한다. 이를 위해 직원 동의 절차를 준비 중이다.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과 신생 LCC들도 비슷한 시기에 무급 전환이 예상된다.

    업계는 지난해에도 같은 흐름을 겪었다. 6개월 기본 지원 기간과 3개월 연장 후에는 서너 달을 무급으로 버틴다. 유급 지원금이 재개되는 이듬해에는 또 다시 유급 휴직으로 체제를 바꾼다. 

    무급 전환 시 LCC 업계의 타격이 특히 클 것으로 전망된다. 여객 외 대체수익이 전무한 LCC는 계속 되는 대규모 적자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휴 항공기를 제주행 국내선에 모두 투입하는 탓에 출혈경쟁 문제도 적지 않다.

    LCC 업계 관계자는 “연초 유급휴직 지원금으로 상반기를 보내고, 하반기에는 긴축경영으로 무급 체제를 견뎌내는 것이 이미 학습화됐다”며 “고용지원금 없이는 사실상 직원 임금을 보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올해도 업계 전반이 무상감자, 유상증자, 고정비 감축 등 자체적인 수단을 모두 동원해 겨우 버텨내고 있다”며 “재무 악화를 방어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경제단체도 항공업 추가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날 한국경제연구원은 항공·여행업 대상의 '고용유지지원금 기간 연장 건의서'를 고용노동부에 제출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특별고용지원 업종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세가 멈춰도 정상 회복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77만명의 근로자들에게 큰 도움이 됐던 고용유지지원금의 지원 기간이 연장될 수 있게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