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부터 파업 지속영남 등 일부지역 '배송지연' 불만 폭증"생계가 더 급하다"… 일부 조합원 쉬쉬하며 복귀
  • ▲ 택배 과로사·합의기구 관련 기자회견 중인 택배 노조 ⓒ 연합뉴스
    ▲ 택배 과로사·합의기구 관련 기자회견 중인 택배 노조 ⓒ 연합뉴스
    CJ대한통운 소속 택배노조 파업이 45일째를 맞고 있다. 현장은 미배송 물량으로 혼란이 여전하며, 파업 기사가 몰린 지역은 소비자 불만이 쏟아진다. 현장에서는 “이제는 파업 명분조차 뚜렷하지 않아 조합원조차 공감하지 못하는 분위기”라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 소속 택배노조는 지난해 12월 28일경부터 전국 총파업을 이어오고 있다. 파업은 배송, 출근거부, 배송차량 출입 방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졌다. 현재 동참 인원은 약 1500명으로 추산된다.

    노조는 당초 ‘인상 수수료 분담’을 주장하며 파업을 시작했다. 당시 노조 측은 “CJ는 과로사 합의기구 가동 이후 약 3000억원의 추가 수익을 얻었다”며 “이중 상당 부분을 배송기사에게 분배해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회사 측은 이미 인상 수수료의 일부를 기사에게 지급하고 있다. CJ는 지난해 상자당 평균 운임을 약 170원 올렸다. 이중 30원 가량은 기사에게 돌아간다. 해당 비용은 지난해부터 의무화된 택배업 고용·산재보험과 전국 4000여 명의 분류 인력비(연 1000억원 안팎)로도 지출된다. 
  • ▲ 택배노조 집회 모습 ⓒ 뉴데일리경제
    ▲ 택배노조 집회 모습 ⓒ 뉴데일리경제
    관련한 노조 주장은 큰 지지를 얻지 못했다. 오히려 파업 관련 여론이 더욱 나빠졌다. 현재는 ‘택배 주5일제 도입, 과로방지 사회적 합의기구 부속문 폐지’ 등을 주장하고 있다. 노조 측 주장에는 여름철 유급휴가, 자녀 학자금 지원 등도 담겨있다. 사실상 근로자 법에 준한 요구다.

    현장 관계자는 “당초 주장했던 초과이익 분배 요구에 동의 여론을 얻지 못하자 주5일 근무, 의무 유급휴가 등의 또 다른 무리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며 “지난해 자신들이 동의했던 2차 사회적 합의문 자체를 또 다시 뒤집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번 파업으로 배송 차질을 겪은 물량은 하루 약 40만~50만 건이다. CJ 측은 식품 등의 긴급배송 상품 집하금지, 반송센터 운영으로 파업지역 물량을 고객사로 돌려보내고 있다. 이중 일부 물량은 타사로 이탈한 상황이며, 해당지역 물량을 약 5만 건 수준으로 줄인 상태다.

    함께 근무하는 비(非)노조 기사는 물론, 이제는 조합원까지 상당한 피로를 호소한다. 영남 등 일부 강성 조합원 밀집 지역은 배송 지연문제가 아직도 심각하지만, 수도권과 소규모 대리점 내 조합원은 쉬쉬하며 업무에 복귀하기도 한다.

    또 다른 현장 관계자는 “하루 이틀 단발성 파업이 아닌 한 달 넘는 장기파업이 이어지자 생계문제를 걱정하는 노조원들이 꽤 늘었다”면서 “노조 집행부의 감시를 피해 눈에 띄지 않게 업무에 복귀하는 조합원들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조합원조차 공감하지 못하는 이번 장기파업의 취지가 대체 무엇인지 모르겠다”면서 “이러한 주먹구구식의 파업은 소비자 물건을 볼모로 자신들의 무리한 주장을 관철시키려는 행위에 불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