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업계, 무기한 조업 중단 19일까지 유보쌍용C&E “연기 의향 있어”… 한일‧삼표 “올해 못넘겨”시멘트업계 내 입장 차이도 커서 극적 화해 성사될지 미지수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레미콘업계와 시멘트업계의 가격 인상을 둘러싼 갈등이 임시 봉합되며 셧다운(조업 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면했다. 그러나 가격 인상 시점을 두고 시멘트업계 내에서도 입장차가 갈려 오는 19일이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레미콘업체와 시멘트업체들은 가격 인상 시점을 놓고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중소 레미콘업계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오는 19일까지 시멘트업계와 협상을 벌여 가격 인상 시기와 관련, 타협점을 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비대위 관계자는 “현재 가격 인상 시점을 두고 시멘트 업체들과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인상 시기 연기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업체들과는 이번주 내 밀착 협의를 통해 최대한 협의점을 찾아낼 것”이라고 전했다. 

    극한으로 치닫던 레미콘업계와 시멘트업계의 갈등이 일시적으로 소강 국면에 접어든 모양새다. 예정된 조업 중단일 하루 전인 9일 중소 레미콘업계 비상대책위원회는 “시멘트업계와 협상을 지속하기 위해 조업중단을 10일간 유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와 동반성장위원회 등 정부 차원에서 몇 차례 자리를 만들며 적극 중재에 나서면서 상황이 일단락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중소 레미콘업계는 시멘트사들의 일방적인 가격 인상에 따라 10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 예고한 바 있다. 대형 시멘트사들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수차례 가격을 올리면서 원가 부담이 급등, 조업 중단이 불가피하다는 게 레미콘사들의 설명이다. 

    실제 대형 시멘트사들은 올해 상반기 톤당 시멘트 가격을 17∼19% 인상했다. 하반기에는 지난 9월 삼표시멘트가 11.7%, 한일시멘트 15%, 성신양회 13.5%, 한라시멘트 14.5%의 가격 인상을 한 상태다. 

    이에 따라 레미콘업계는 가격 인상 시기를 내년 3월로 연기해 달라고 요청해왔다. 평행선을 달리던 양측의 주장은 셧다운을 3일 앞둔 지난 7일 극적으로 가격 인상분을 내년 1월 1일자로 반영하는 최종안을 도출했다. 하지만 일부 시멘트사들이 다음 달 1일 인상을 고수하면서 결국 협상이 무산됐다.

    시멘트업계는 가격 인상 시점을 두고 공통된 입장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한 시멘트업체 관계자는 “시멘트업계 특성이 몇 개 대형 회사에 대한 시장 의존도가 높아 어떤 결정을 독자적으로 결정하긴 힘든 구조”라면서 “다만 회사마다 처해있는 상황이 너무 다르다보니 의견이 모아지지 않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우선 업계 1위인 쌍용C&E는 협상의 여지를 열어뒀다. 쌍용C&E 관계자는 “가격 인상 시점을 내년 1월로 연기할 의향이 있다”면서 비교적 전향적인 태도를 취했다.

    반면 한일시멘트와 삼표시멘트 등은 내년 1월 가격 인상에 동의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한일시멘트 관계자는 “우리 뿐 만이 아니라 시멘트사 상당수가 1월 1일자 인상에 동의한 적이 없는데 자료가 나와 당황스러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 밖에 한라시멘트 등은 협의 상황을 좀 더 지켜본 후 결정한다는 유보적 견해를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가격 인상에 대한 명분이 확실하다보니 좀처럼 의견이 모아지지 않고 있다는 게 시멘트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국제 유연탄 시세 전문기관인 GCI에 따르면 호주산 유연탄 가격은 지난달 30일 기준 톤당 414.8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206.3달러 보다 2배 가량 늘었다. 시멘트 제조 원가의 30~40%를 차지하는 유연탄은 호주, 러시아 등에서 전량 수입하고 있다.

    양측의 입장차가 여전한 만큼 셧다운에 따른 건설 공사 중단을 피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레미콘업계와 시멘트업계는 지난 7월 이후 3개월이 넘도록 가격 인상과 관련한 갈등을 이어오고 있다. 레미콘 비대위가 예고한 2차 조업 중단 예정일은 오는 19일이다. 

    비대위 관계자는 “조업 중단은 건설 현장에 손해를 끼칠 수 있는 사안인만큼 신중하게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인상 시점 관련 협의가 되지 않는 업체와는 연합회 차원에서 공동 대응에 나서는 등 별도의 방안을 찾아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