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 1.02→1.52%주담대 0.12→0.18%중기도 0.08% 상승
  • ▲ 시중 은행지점 입구 붙은 직장인 신용대출 안내 문구ⓒ연합뉴스
    ▲ 시중 은행지점 입구 붙은 직장인 신용대출 안내 문구ⓒ연합뉴스
    가계와 기업대출 연체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특히 신용대출과 중소기업 연체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부실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2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월말 원화대출 연체율은 0.36%로 전월말 대비 0.05%p 상승했다. 코로나19 방역정책으로 경기침체가 일어난 2020년 8월 이후 최대치다. 원화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0.25%에서 지난 1월 0.31%로 뛰어오른 뒤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이 0.34%에서 0.39%로 0.05%p 상승했다. 대기업 연체율은 0.09%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이었지만, 중소기업 연체율이 0.08% 오르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28%에서 0.32%로 0.04%p 상승했다. 지난해 말 0.24%에서 0.28%로 오른 뒤 추가 상승이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02% 오르는데 그쳤지만, 신용대출 연체율이 0.55%에서 0.64%로 0.09% 껑충 뛰었다.

    신용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2월 0.46%에서 39% 급증했다.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실질소득이 감소하고 경기악화가 겹치면서 가계의 대출상환 여력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양정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담보대출 연체액은 1조20억원으로 전년(6477억원)대비 5457억원 증가했고 연체율도 0.12%에서 0.18%로 뛰었다.

    또 신용대출 연체액은 1조9143억원에서 2조5730억원으로 늘고 연체율은 1.02%에서 1.52%로 증가했다. 특히 담보가 없는 신용대출의 경우 연체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어 금융권 부실 폭탄 뇌관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양 의원은 "신용대출 연체액은 손실을 금융권이 그대로 떠안아야 해 미칠 충격이 큰 만큼 금융당국의 특별 관리가 필요하다"며 "연체율이 4%~5%가 넘는 여전사와 저축은행들에 대한 관리감독과 건전성 강화를 위한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여기에 청년과 노년층을 중심으로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가 급속히 늘고 있는 것도 부실 우려를 더한다. 지난해 다중채무자 연체액은 6조4000억원으로 1년새 1조3000억원 증가했다. 최근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대출금리 인하 조치가 이뤄지고 있지만, 기존 차주들은 체감하지 못한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금융당국은 현재의 연체율이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하면서도 하반기 경기침체 가능성을 고려해 충격 완충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임원회의에서 "최근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확대로 향후 부실 가능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은행은 증가한 이익을 바탕으로 손실흡수능력을 보다 적극적으로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시중 은행지점 입구 붙은 직장인 신용대출 안내 문구ⓒ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