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재검사 주타깃6792억 최다판매… 합의율 절반에 그쳐장하성 등 전 정권 인사 개입 여부 주목전직 은행장들 불똥… 은행연 회장 선거도 영향권
  • ▲ 문재인 전 대통령(사진 왼쪽)과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뉴데일리
    ▲ 문재인 전 대통령(사진 왼쪽)과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뉴데일리
    IBK기업은행의 '디스커버리 악몽'이 재현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디스커버리 펀드를 판매사들을 재검사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기업은행이 주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디스커버리를 포함한 라임‧옵티머스 등 3대 펀드 사태의 경우 전 정권 실세 정치인들이 대거 연루돼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어 판매사인 기업은행으로선 여간 부담이 아닐 수 없다. 

    특히 디스커버리 펀드 운용사인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은 문재인 정권 실세로 알려진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동생 장하원씨가 대표로 재직해 당시 투자자들 사이에선 '장하성 펀드'로 불리며 인기를 끌었다. 

    단순 불완전판매 문제를 넘어 정치 싸움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금감원은 이번 재검사에서 정치권 인사들에 대한 특혜 제공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 볼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7년~2019년 사이 고객들에게 디스커버리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와 디스커버리US부동산선순위채권펀드를 각각 3612억, 3180억원씩 총 6792억원 판매했다.
  • ▲ ⓒ기업은행
    ▲ ⓒ기업은행
    하지만 미국의 운용사가 펀드 자금으로 투자한 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914억원 규모의 환매 중단 사태가 발생했고, 펀드 투자자들은 불완전판매를 주장하며 금감원에 분쟁조정을 신청했다.

    결국 2021년 5월 금감원이 기업은행을 포함한 판매사들에게 "원금의 40~80%를 손해배상하라"고 권고하면서 분쟁조정 절차는 마무리됐다.

    그러나 여전히 피해자 합의율이 50%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이들은 투자원금 100% 반환을 주장하며 수 년째 농성을 이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 금감원이 기업은행 등 판매사 재검사에 나서기로 하자 투자자들은 다시금 분쟁조정 신청을 추진해 투자원금을 모두 돌려받으려 시도 중이다.

    지난 28일 기업은행 디스커버리 사기피해대책위원회는 성명서를 통해 "이번 금감원의 조사결과 발표와 분쟁조정 개최의지를 환영한다"며 "'착오에 의한 계약취소'를 통해 원금과 이자 배상을 신속하게 결정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내달 6일엔 금감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분쟁조정 신청서 및 의견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디스커버리 펀드에 대한 재조사에서 펀드 자금 관리자가 의도적으로 부실 자산을 매입하고 그 대가로 42만달러를 수재한 혐의를 발견해냈다. 아울러 일부 디스커버리 펀드의 경우 기존 펀드 상환만을 목적으로 모집한 정황도 드러났다.  

    이에 금감원과 피해 투자자들은 '착오에 의한 계약취소'로 투자원금 100% 반환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금감원은 분조위를 통해 라임, 옵티머스, 헤리티지 펀드 3개에 대해 손해배상이 아닌 계약취소로 조정한 바 있다.

    한편, 금융권 일각에서는 이번 디스커버리 펀드 재검사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적 이슈로 비화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만약 금감원 검사를 통해 장하성을 비롯한 지난 정권 유력 인사가 개입된 정황이 포착될 경우 그 여파는 '투자원금 100% 반환' 정도로 그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밖에 펀드 판매와 관련해 전현직 은행장들에게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김도진·윤종원 전 행장은 차기 은행연합회장 후보로 거론 중으로 사태 추이에 따라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