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 현황과 국제규범 동향 세미나 개최
-
31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에메랄드룸에서 ‘AI 기술 현황과 국제규범 동향 세미나’를 개최하고, 인공지능(AI) 활용 및 규범에 대한 국제동향과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세미나는 인공지능(AI)에 관한 국제동향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기 위해 열렸다.
배상근 전경련 전무는 개회사에서 “인공지능(AI)은 챗GPT 등의 발전으로 이미 우리 생활 속 가까이 다가왔다”며, “AI는 무궁무진한 잠재성과 함께, 글로벌 시장 규모가 2027년까지 세계 반도체 시장에 버금가는 약 5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과 중국이 AI 기술패권을 두고 각축을 벌이는 등 AI 분야를 선도하기 위한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배 전무는 “한국이 AI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관련 투자확대, 인프라 확보, 인재유치 등 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석영 법무법인 광장 고문은 기조발표를 통해 AI의 발전은 정치·경제·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 전환과 녹색 전환의 가속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지정학의 귀환 등 글로벌 대전환 시대에 인공지능(AI)은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이광용 네이버 정책전략 이사는 ‘초거대 AI 글로벌 패권경쟁 속 우리나라의 현주소’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 이사는 “초거대 생성 AI는 대용량 언어모델을 기반으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해 생산활동이 가능한 AI를 말한다”며 “초거대 생성 AI는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범용기술로, 앞으로 생성AI를 모르면 어떤 산업에서든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세미나는 개인정보 문제, 가짜 뉴스 등 인공지능(AI)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사회에서 대두되고 있는 AI 규제론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UN에서는 최근 AI 발전에 따른 위협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며 국제원자력기구(IAEA)급 AI 규제 전문기구 설립 계획을 밝혔고, OECD에서는 ‘OECD AI 권고안’을 공개한 바 있다. 세계 각국에서도 미국, 중국, EU 등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AI를 규율하려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세미나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AI 활용과 규제를 위한 국제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한국도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AI 규범 논의의 주도권을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종용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은 “AI 등 디지털 신기술에 관한 국가적 역량이 글로벌 기술패권의 경쟁대상이 되고 있다”며 이러한 시기에 “AI 전략, 디지털 국제규범 등 관련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일관된 디지털 정책 추진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