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평균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 5.73% 연중 최고 공매도 전면 재개, 개인 vs 전문가 의견 상충 정부, MSCI 선진지수 편입 숙원사업…코리안 디스카운트 해소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공매도 전면 재개를 논의 중인 가운데 규제 개선을 요구하는 개인 투자자들의 반발이 거세다. 일각에선 공매도를 전면 금지해야 한다는 강경의 목소리도 나온다.  

    반면 전문가들은 제도적 환경정비는 필요하나 공매도의 순기능을 고려해야 한다며 재개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9월 평균 유가증권시장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은 5.74%로 올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 연평균 공매도 비중 4.96%보다 약 1%포인트 높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주식을 빌려 먼저 판 뒤, 실제로 가격이 떨어졌을 때 갚아 그 차익을 노리는 투자 방식이다. 

    가격효율성을 제고하고 버블형성을 억제한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지만 불공정거래에 악용될 위험성이 크다는 지적이 꾸준하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주가가 급락하자 상장주식 공매도를 전면 금지했다. 이후 변동성이 완화되자 2021년 5월 코스피200과 코스닥150에 편입된 종목에 대해 공매도를 일부 재개했다.

    현재 공매도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는 극히 일부로 소외됐다. 

    투자자별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은 지난 18일 기준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2.4%, 25.4%로 전체의 97.7%를 차지했다. 개인 투자자는 2.3%에 불과했다. 

    사실상 외국인과 기관이 장악하고 있는 셈이다. 불법 공매도로 적발되는 업체도 다수다. 지난 상반기에만 20여곳의 금융투자업체가 이 문제로 제재를 받았다. 

    현 공매도 제도상 외국인·기관에 비해 담보비율, 피해 구제책, 주식 상환 기간 등의 기준에서 개인이 불평등한 위치에 있다는 불만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극단적으로 공매도를 전면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투자자들도 적지 않다. 

    정의정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대표는 "공매도 주체가 개인 대비 39배 수익을 가져갈 정도로 기관, 외국인에게 유리한 상황"이라며 "상환기간을 90일로 통일하고, 무차입공매도 적발시스템을 가동하는 등의 방안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김준석·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한 공매도 규제효과 분석에 따르면 공매도 전면금지 이후 가격효율성은 측정지표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극단수익률의 발생빈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증 분석에서 공매도 금지 전후 변화를 거래비중 상위 20% 종목과 나머지 하위 80% 종목으로 구분했을 때 공매도 금지 이전, 공매도 상위 그룹은 하위 그룹에 비해 전반적으로 가격효율성이 높고 변동성이 작으며 유동성이 높았다.

    하지만 공매도 금지 이후, 상위 그룹의 가격효율성은 저하되고 변동성은 증가해 공매도 하위 그룹과의 격차가 줄어들거나 역전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실증분석에서 관찰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공매도 금지는 가격효율성을 떨어뜨리고 변동성을 확대시키며 시장거래를 위축시키는 것으로 요약된다"고 밝혔다.

    이에 공매도가 가진 가격발견 기여, 유동성 공급 등의 경제적 기능을 고려할 때 전면금지와 같은 강력한 규제수단을 빈번하게 활용하는 것은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황세운 선임연구위원은 "개인투자자들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인식과 달리 공매도는 가격발견에 기여하고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며 "공매도의 순기능을 부인하기 어렵다면 전면금지와 같은 극단적인 접근방식보다는 그 기능은 유지하되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방향으로 공매도 규제를 운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금융당국은 공매도 재개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며 재개 시점을 논의 중이다.

    정부의 숙원사업인 국내증시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 시장 승격을 염두에 두는 것으로 풀이된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면 53조원가량의 해외 자금이 국내에 유입될 것으로 추산된다. 코리안 디스카운트 해소에 도움이 되는 셈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달 17일 기자간담회에서 "정확한 시점에 대해선 말하기 어렵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공매도 전면 재개 방향으로 갈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