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비중 큰 항목 의도적 배제기재부 "변동성 커 공개 어려워"주요국 연 2~4회 공개… 홍성국 "기재부 눈치 그만"
-
한국은행의 주요 업무 중 하나인 경제성장 전망에서 정부의 소비성장 전망치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부정책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선심성 예산살포 여지를 줄여야 한다는 취지다.5일 홍성국 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주요 경제 기관들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할 때마다 정부소비 성장률 통계를 지워온 것으로 나타났다.정부소비 부문은 민간소비, 투자, 순수출과 함께 국내총생산(GDP)을 구성하는 핵심 항목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소비 규모는 406조원으로 전체 GDP 2162조원의 19%에 달한다.GDP에 기여하는 비중이 큰 만큼 향후 정부소비가 얼마나 늘어날지 반영한다면 더 정확한 경제성장 전망이 가능하다는게 홍 의원의 설명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집행이 끝난 정부지출만 GDP에 반영할 뿐 전망치는 따로 관리하고 있지 않다.이에 대해 기재부는 "세입여건 , 재난대응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 따라 변동하는 정부소비 특성상 공개하기 어렵다"고 답변한 것으로 확인됐다. 홍 의원은 "민간소비, 기업투자도 예측·공개하는데 정해진 예산을 절차대로 집행하는 정부가 변동성 핑계 대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했다.GDP 규모가 큰 해외 주요 선진국들은 정부소비 전망을 정례적으로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과 영국은 의회 및 독립기구를 통해 연 2회 정부지출 전망을 공개한다. 독일은 중앙은행에서 연 2회 , 정부에서 연 1회 공개하고 있다. 캐나다와 프랑스는 중앙은행이 연 4회에 걸쳐 전망치를 발표한다. 정부소비 전망을 공개하지 않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뿐이다.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기재부 눈치에 주요 통계를 감추고 있는게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홍 의원은 "정부 입맛대로 통계를 감춰주는 행위는 한국은행의 대내외 신뢰도 및 독립성 제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경기침체 , 세수결손 등 위기에 대응하는 윤석열 정부의 재정 정책 방식이 불안정하고 불투명하다는 비판의 목소리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