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임금 소송 접수에 7116명 참여기본급 8.3% 인상, 의료비 한도 1억 요구'화합 행보' 장 회장 첫 시험대
  • ▲ 장인화 회장이 3월 취임하는 모습. ⓒ포스코그룹
    ▲ 장인화 회장이 3월 취임하는 모습. ⓒ포스코그룹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취임한 지 두 달 만에 ‘노조리스크’ 시험대에 올랐다. 노조가 통상임금 소송으로 공세에 나서면서 노사 대립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노조는 이달 20일 조합원을 대상으로 통상임금 청구 소송에 대한 위임장 접수를 마감했으며, 총 7116명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근로의 대가로 지급하기로 정한 임금이다. 각종 수당과 퇴직금의 산정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주요 기업 노사가 통상임금 기준을 두고 첨예한 대립을 벌이고 있다. 

    노조는 ▲정비기술장려금 ▲상주업무몰입장려금 ▲교대업무몰입장려금 ▲업적금 ▲명절상여금 ▲경영성과금 등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는 다음달 중순 소장을 접수해 사측과 본격 소송전에 나설 방침이다. 

    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에서도 역대급 요구안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통상임금 소송의 열기를 올해 임단협 교섭으로 이어가겠다”고 밝히면서 ‘강경 투쟁’을 시사했다.   

    노조가 최근 조합원들에게 배포한 임단협 초기안을 보면 ▲기본급 8.3%(평균 25만4810원) 인상 ▲연봉제·호봉제 폐지 및 매년 2.4% 일괄 임금 인상 ▲본인 및 가족 연간 1억원 한도 의료비 지원 등의 내용을 담았다. 

    장 회장은 지난 3월 22일 오전 취임식을 갖고 나서 오후에 노경협의회 사무실을 찾을 정도로 노사 화합을 중시하고 있다. 당시에도 장 회장은 “신뢰를 바탕으로 선진 노사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노사가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다만 노조의 요구를 다 수용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에서 장 회장의 고민이 커지고 있는 형국이다.

    포스코홀딩스의 영업이익은 2021년 9조2381억원에서 2022년 4조8501억원, 2023년 3조2514억원으로 감소했다. 올해는 철강업황 부진이 지속되면서 전년동기 대비 4.5% 줄어든 3조3000억원대로 예측됐다. 

    한편, 장 회장은 취임 이후 ‘100일 현장동행’을 통해 임직원과의 소통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1일에는 세종시 포스코퓨처엠 에너지소재연구소 및 천연흑연 음극재 공장을 방문하고 임직원 간담회를 가졌다. 

    장 회장은 “최근 글로벌 전기차 수요침체(캐즘) 추세가 보이고 있지만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에서 전기차는 꼭 가야 하는 방향으로 그룹 차원에서 투자 축소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차전지 등 미래 성장성에 대한 질문에는 “초격차 기술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면 미래가치는 높아질 것”이라며 “원료부터 소재까지 이차전기소재 풀밸류체인 구축을 완성하면 그롭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