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 주가 연동…'ET' 거래소 상장 상품원금 보장 여부 따라 ELS·ELB 차이운용사 발행 ETF…증권사 출시 ETN
  • 최근 증권사들이 앞다퉈 ETN(상장지수증권·Exchange-Traded Note),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quity-Linked Bond)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 홍콩H지수 ELS(주가연계증권·Equity-Linked Securities) 대규모 손실 사태에 ELS 발행 시장이 위축되자 다양한 상품 구성이 가능한 ETN과 원금이 보장되는 ELB 상품을 통해 투자자들을 유인하는 것인데요.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이름도 비슷한 ETN, ELS, ELB 그리고 비교적 일반에게 익숙한 ETF(상장지수펀드·Exchange-Traded Fund)까지 알파벳 첫글자로 E로 시작하는 상품들도 무척 많고 다양해졌습니다. 

    ELS, ELB. 알파벳 앞 두 글자가 'EL'로 시작되는 상품은 주가와 연동된 금융상품을 의미합니다.

    ELS는 주가지수나 개별 주식에 연계해 미리 정한 조건에 따라 투자손익을 주는 상품입니다. 주식과 채권, 파생상품에 투자하기 때문에 통상 예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고, 대부분 일정부분 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수익을 주는 구조입니다. 

    가장 대표적 유형인 스텝다운형은 일정기간마다 기초자산의 가치를 평가해 조건을 충족하면 조기상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 투자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예컨대 코스피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고, 6개월 주기로 최초 기준가격의 90% 이상이면 일정 비율의 수익을 지급하는 ELS 상품은 지정한 조건 충족 시 약속된 수익을 지급하고 조기상환됩니다. 

    주의할 점은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다는 건데요. 증권사가 ELS 청약 당시 제시한 벽, 이른바 배리어(barrier) 아래로 지수가 떨어진다면 하락률 만큼 원금을 잃을 수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홍콩H지수 급락에 따른 관련 ELS 상품 가입자들은 원금 손실로 고통받았죠. 

    이로 인해 위축된 ELS 시장의 틈을 파고는 게 원금 보장 ELB입니다. 

    ELB는 ELS처럼 특정 지수나 종목의 주가에 연계돼 수익률이 정해지는 채권형 상품입니다.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이자를 지급한다는 점에서 ELS와 유사하지만 들어온 자금의 약 90%를 채권 등 안전 자산에 투자하고 나머지를 파생상품이나 개별 종목에 넣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원금은 증권사가 책임지고 지급하기에 ELS보다 안정적이지만 기대 수익률은 ELS보다 낮습니다. 

    그러나 두 상품 모두 증권사의 신용으로 발행하기 때문에 발행한 증권사가 파산하면 수익 발생 조건을 달성해도 원금과 수익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발행사의 신용등급을 꼼꼼히 따져봐야 하는 것이죠.

    이제 ETF와 ETN에 대해 살펴볼 텐데요. 앞서 살펴본 'EL' 시리즈와 달리 'ET' 시리즈인 ETF와 ETN는 전혀 다르게 운용됩니다. 알파벳 앞 자리가 'ET'로 구성된 상품은 거래소에 상장돼 주식처럼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는데요. 이 둘을 묶어 상장지수상품(ETP)이라고 부릅니다.

    발행 주체가 자산운용사인 ETF는 코스피200 등 특정시장이나 상품의 지수를 따라가도록 설계된 인덱스펀드의 일종인데요. 본질은 펀드지만 투자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주식처럼 선택해 주문하는 매매형 상품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ETN은 기초지수 변동과 수익률이 연동 되도록 증권사가 발행하는 파생결합증권의 일종입니다. ETF처럼 국내외 주가나 원자재, 금리 등 기초자산 가격 움직임에 따라 수익을 내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ETF와 ETN 모두 기초지수 움직임에 따라 원금 손실의 위험성이 있지만 대부분 개별 주식보다 변동성이 적은 편입니다.  

    ETF와 ETN은 유사한 점이 많지만 성격, 발행주체와 신용위험 유무 등에서 서로 차이가 뚜렷합니다.

    무엇보다 두 상품의 가장 큰 차이는 ETN은 발행 주체가 증권사, ETF는 자산운용사라는 점입니다. ETF는 환매에 2~3일 걸리는 펀드를 상장시켜 즉시 매매할 수 있도록 한 주식 성격을 지녔다면 ETN은 만기를 설정하고 수익률을 보장하는 채권에 가깝습니다. 

    ETN은 총보수뿐 아니라 기초자산 추적오차에 따른 기타 비용을 내야 하는 ETF와 달리 기초지수 변동률을 추적오차 없이 그대로 따라갈 수 있어 비용 측면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ETF 대비 기초지수로 삼을 수 있는 영역이 넓어 원자재 가격과 양의 상관관계로 수익률이 결정되는 레버리지 상품, 원자재 가격과 역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인버스 상품 등 다양한 상품 구성도 가능한 편입니다. 

    다만 ETF는 펀드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 등을 신탁재산으로 보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ETN은 증권사 파산 시 원금을 회수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ETN을 발행할 수 있는 증권사는 신용등급 AA- 이상, 자기자본 1조원 이상, 증권업 인가 3년이상 유지 등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