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가계동향조사고소득층·중산층 적자 가구 비율 동반 증가고금리 이자 비용, 소득이 못 따라잡아
  • ▲ 명동ⓒ연합뉴스
    ▲ 명동ⓒ연합뉴스
    올해 1분기 중산층 5가구 중 1가구가량은 수입보다 지출이 많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에 달했다. 1년 전(26.7%)과 비교하면 0.1%p 늘었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이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년 전보다 2.2%p 증가해 18.2%가 됐다. 직전 분기인 4분기(14.8%)와 비교하면 3.4%p 늘었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로 확인됐다. 중산층 5가구 중 1가구 가까이가 소비 여력보다 더 많은 돈을 쓰는 ‘적자 살림’을 했다는 뜻이다.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 역시 적자 가구 비율이 1년 전보다 0.5%p 증가한 9.4%로 나타났다. 2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9%p 증가한 28.9%를 찍었다.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p 감소해 60.3%를 기록했다.

    중산층과 고소득층 가구의 적자 살림 증가는 고물가·고금리에 근로소득 감소가 맞물렸기 때문이다. 높은 물가와 금리가 이어지면서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늘었지만, 소득이 이에 비례에 늘지 못하면서 적자가 늘었다.

    1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은 1년 전보다 6만8000원(1.4%)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9만9000원(2.5%) 증가했다. 이자 비용도 1만4000원(11.2%) 늘었다. 특히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3만5000원(1.1%) 줄었다. 통계청은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고 분석했다.

    1분기 3·4분위 가구의 지출은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각각 5.4%, 2.7% 늘어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의 증가율은 3분위가 3.8%, 4분위가 0.7%로 부진했다. 대기업들의 상여금 감소로 고소득 가구인 5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4%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