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 가도 서울?… "절대 기준 아냐"높은 연봉+교통‧주거‧문화 충족해야'젊은' '여성' 수도권 선호도 높아인력·소비 있다면 기업투자 늘 것
  • ▲ 붐비는 전철 승강장ⓒ뉴시스
    ▲ 붐비는 전철 승강장ⓒ뉴시스
    2030세대 세 명 중 한 명은 생활여건과 인프라만 갖춰진다면 굳이 수도권 거주를 고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상의)가 소플(소통플랫폼)을 통해 수도권‧비수도권 거주 2030 세대 600여명을 대상으로 '내가 살고 싶은 도시'를 조사한 결과,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주 의향이 있는 수도권 거주자는 31.7%로 나타났다. 의향이 없다는 45.7%, 잘 모르겠다는 22.6%로 조사됐다.

    비수도권 거주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수도권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정주여건'이라는 응답이 4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주여건은 교통‧주거환경‧편의시설 등을 가리킨다.

    이어 '수도권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연봉의 일자리'(29.8%), '연봉과 정주여건 둘 다 충족해야'(26.6%), ‘잘 모르겠음’(2.0%) 순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는 "수도권 거주 2030 중에서도 비수도권 이주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적지 않았다"며 "이는 기존 통념과 다소 차이가 있는데, MZ 세대는 자신의 삶의 기준에 부합한다면 수도권이냐 비수도권이냐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 붐비는 전철 승강장ⓒ뉴시스
    반대로 비수도권 2030을 대상으로 수도권 이주 의향이 물어봤을때는 의향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36.5%로 나타났다. 의향이 없다는 38.6%, 잘 모르겠다는 24.9%였다.

    수도권 선호도는 20대가 44.6%로 30대(38.9%)보다 높았고, 여성(43.8%)이 남성(39.7%)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도권 이주 의향이 있는 2030세대를 대상으로 정주여건 중 어떤 조건이 충족되면 비수도권에 남을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대중교통 접근성과 편리성'이 50.9%로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으로는 '주거환경'(46.9%), '의료 인프라‧서비스'(33.6%), '문화‧쇼핑 등 편의시설'(33.3%), '교육기관 수준'(23.6%)이 뒤를 이었다.

    조성환 대한상의 지역경제팀장은 "2030세대는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을 충족할 수 있다면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굳이 구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라며 "지역정책 방향도 이에 맞게 바뀌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수도권 집중 현상이 비수도권 지역의 약화·소멸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야기해 왔다는데 일할 사람과 소비자가 있다면 기업의 투자도 자연스럽게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역에 미래 세대가 살고 싶어하는 정주환경을 세심하게 설계한다면 지역균형발전과 국가 성장잠재력 제고를 달성하는 해답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