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 전망 세미나'
  • ▲ 서울 아파트 전경. ⓒ뉴데일리DB
    ▲ 서울 아파트 전경. ⓒ뉴데일리DB
    올해 전국 집값이 1.8%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2.0% 하락을 예측했던 지난해말 전망보다 완화된 수치로 신생아특례대출을 통한 유동성 공급과 종합부동산세 폐지 등이 매수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건설 수주와 투자는 동반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1일 '2024년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를 열고 이같이 전망했다.

    건산연은 전국 주택매매가격이 지난 1∼4월 0.5% 하락한 가운데 연간으로는 1.8%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수도권은 0.5%, 비수도권은 3%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매매가 하락 전망 이유로는 반등을 기대하기엔 현재 가격수준이 부담스럽고 금리인하 폭이 시장예상보다 적을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전반적인 경기가 둔화세를 나타내는 것도 하락 요인으로 지목됐다.

    다만 이날 발표된 전망치는 지난해말 제시한 수치보다는 하락폭이 줄어든 것이다.

    건산연은 지난해 11월 '2024년 부동산 경기전망'을 발표하면서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2.0%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대해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상반기 정책금융상품에 의한 유동성 유입과 종합부동산세 폐지 등 당초 예상보다 시장 친화적인 정책들이 논의되면서 시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소비자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부동산정책이 향후 시장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에 대해선 "지난 총선에서 언급한 여야 후보들의 주요 공약중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되는 방안은 이미 시장가격에 반영됐다"며 "시장이 재차 급락하지 않는다면 추가적인 정책요인이 유입돼 가격에 직접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적다"고 진단했다.

    매매가와 달리 전세가는 상반기 0.2% 오른데 이어 연말까지 2.8% 추가상승해 연간 3.0%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꾸준히 하락하면서 매매 수요 유입이 예상된다"며 "이런 가운데 연간 입주물량이 전년대비 소폭 감소해 하반기 전세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건설수주는 전년대비 10.4% 감소한 170조2000억원, 건설투자는 1.3% 줄어든 302조1000억원 규모로 전망됐다.

    특히 민간수주는 토목과 건축 모두 부진한 흐름을 보이며 전년대비 16.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지혜 건산연 연구위원은 "고금리에 하반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으로 자금조달 어려움이 지속될 것"이라며 "여기에 공사비 상승으로 선별수주가 이뤄지고 있어 수주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