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유지 첫날 적막감…"재산권·거주이전 자유 침해"중개업소 "재건축·신학기 호재로 문의 많았지만 잠잠"전문가 "매매 감소할 수 있지만 집값에 영향줄 정도 아냐"
  • ▲ 목동신시가지 7단지 전경=나광국 기자
    ▲ 목동신시가지 7단지 전경=나광국 기자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재건축 윤곽이 차례로 들어나면서 대구, 대전 등 지방에서도 투자문의가 이어졌어요. 일부 매도인들은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호가를 높였죠. 그런데 최근 서울시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지역에서 목동을 제외하면서 실망감이 커지는 분위에요. 일부 주민들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울분을 토하고 있어요." (양천구 목동 일대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적용된 첫날인 지난 13일 찾은 목동일대는 적막감이 흘렀다. 현장에서 만난 일부 주민들은 불만을 쏟아내기도 했다. 시가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동에 토허제를 유지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토허제 규제가 유지되면 실거주 2년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 데다 대출규제로 인해 자금조달이 어렵고 전세를 끼고 매물을 사들이는 '갭투자'가 불가능하다.

    목동 신시가지 9단지에 사는 40대 여성 A씨는 "목동은 학령기 자녀를 둔 실수요자 위주 시장인데 투기가 우려돼 해제에서 제외됐다는 게 이해가 안 된다"며 "누가 20억~30억원을 들여서 목동아파트에서 몸테크(실거주하며 집값이 오를 때까지 버티기)를 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인근 목동 신시가지 7단지에 사는 50대 남서 B씨도 "아이가 올해 고등학교를 졸업하면서 아파트를 팔고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가려고 했는데 타이밍이 어긋났다"며 "신학기가 되면 이주수요도 있어서 그에 맞춰 집을 내놨는데 거래가 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학군지로 입지가 좋아도 규제가 있으면 이곳에 집사면 돈이 안되다는 심리가 있기 때문이다"고 호소했다.
  • ▲ 목동시가지 7, 9, 10 등 단지 전경=나광국 기자
    ▲ 목동시가지 7, 9, 10 등 단지 전경=나광국 기자
    목동지역 부동산업계 일부도 서울시 토허제 유지는 형평성에 어긋날 뿐 아니라 개인의 재산권과 거주이전의 자유를 침해하는 불합리한 규제로 당분간 거래가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목동 신시가지 10단지 인근 Y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목동 재건축단지를 매매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던 한 수요자도 오늘 전화로 목동 아파트 대신 대치동 아파트를 전세를 끼고 매매하는 갭투자를 하겠다며 매수를 철회했다"며 "이렇게 되면 외부수요뿐 아니라 소·중형 아파트를 팔고 더 큰 평형으로 이사를 계획하고 있는 단지내 실거주자들도 발이 묶이게 된다"고 말했다.

    K공인중개업소 관계자도 "그간 목동 재건축아파트 대부분이 안전진단을 통하기 전 토허제에 묶여 불이익을 얻었는데 이번에도 뚜렷한 투기수치나 기준도 밝히지 않고 목동을 계속 규제에 묶었다"며 "재건축 호재와 신학기를 앞두고 문의가 많았지만 일부수요는 타지역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졌는데 개인재산을 타당한 근거 없이 입맛대로 좌우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 ▲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단지에서 이사 차량이 짐을 옮기고 있다=나광국 기자
    ▲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단지에서 이사 차량이 짐을 옮기고 있다=나광국 기자
    목동신시가지 14개단지중 대부분이 모두 최고 40층이상으로 사업을 추진해 향후 입주가 마무리되면 목동 신시가지 단지는 2만6600가구 수준에서 5만가구가 넘는 작은 신도시 규모가 된다. 여기에 전통적으로 학원가가 많은 학군지라는 장점에 최근 수요가 쏠려 가격도 올랐다.

    실제로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는 최근까지 신고가에 거래가 이어졌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목동 신시가지 10단지 전용면적 106㎡가 21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직전최고가 19억7500만원 대비 1억7500만원 오른 가격이다. 목동13단지 전용 98㎡는 지난달 15일 20억8000만원에 최고가 기록을 새로 썼고 이달 들어서도 4일 전용 84㎡가 18억6500만원. 6일 전용 103㎡가 16억원에 거래되며 연일 신고가를 갱신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토허제 유지로 매매 거래량은 다소 줄어들 수 있지만 아파트 가격에 주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평가했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는 "토허제 해제가 되는 지역에 수요가 많이 몰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목동 재건축단지 거래가 다소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며 "아무래도 구청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실거주가 아닌 투자수요는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재건축 관련 투기과열 방지를 위한 규제였기 때문에 어차피 목동과 압구정 경우 해제 가능성이 낮았다"면서 "규제가 풀리면 시장이 단기적으로 요동칠 가능성이 있지만 해제에서 제외됐기 때문에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