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AI랩장으로 김진한 전 스탠다임 대표 영입최근 신설된 AI랩,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 등에 AI 활용 도입셀트리온, 지난달 AI 관련 인력 채용 진행 … 신약 개발에 활용
  • ▲ 삼성바이오로직스(왼쪽)와 셀트리온. ⓒ각 사
    ▲ 삼성바이오로직스(왼쪽)와 셀트리온. ⓒ각 사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 바이오기업들이 AI(인공지능) 인재를 영입하며 중장기 사업전략에 AI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10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일 AI랩장(상무)으로 김진한 전 스탠다임 대표를 영입했다. 김진한 상무는 AI 신약 개발 기업 스탠다임의 창업 멤버로 2023년까지 대표로서 회사를 경영해 왔다. 

    김 상무는 서울대 응용생물화학부를 졸업하고 동대학 컴퓨터공학 석사를 거쳐 영국 에든버러대에서 AI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또 스탠다임을 창업하기 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에서 전문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반도체 유기소재 알고리즘과 시스템 생물학 알고리즘 개발에 참여한 바 있다. 

    김 상무는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에 AI를 활용하는 업무를 총괄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연구소 산하 AI랩이 최근 신설된만큼 사업 방향에 눈길이 쏠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AI 활용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완공된 ADC(항체-약물 접합체) 전용 생산시설에 자동화 공정을 도입할 예정이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지난 1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운영 효율성과 품질 강화를 위해 독자적인 '고객 포털'을 구축하는 등 디지털 전환을 지속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셀트리온도 AI 인력 확보를 위해 나서고 있다. 

    셀트리온은 지난달 데이터엔지니어 등 AI 관련 인력을 채용했다. 새로 채용된 직원은 유전체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AI 신약 개발에 나선다. 또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질병 예측 및 약물을 발굴할 예정이다. 

    회사는 지난해부터 임상·유전체 데이터뱅크를 구축하고 AI 바이오마커 발굴 및 질병 예측 플랫폼을 개발중이다. 특히 올해 초 ADC 및 다중항체 신약 개발 계획을 공개했는데 이에 활용할 방침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신약 개발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체계를 구축하고 연구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신약 개발에 평균 15년의 시간과 3조원의 비용이 소요되는데 AI는 이를 7년과 6000억원 규모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