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제4차 식생활교육 기본계획 발표
-
정부가 학교에서 사회로 이어지는 평생 식생활 교육을 추진하고 지역 단위의 맞춤형 식생활 교육을 활성화해 지역 농산물 소비 기반을 공고히 하기로 했다.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열린 제2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제4차 식생활 교육 기본계획(2025~2029)'를 발표했다.먼저 농식품부는 학교 교육과정과 밀접히 연계한 식생활 교육을 추진하기로 했다. 초등학교에서는 올해부터 늘봄학교를 통해 학년별 표준 교육 프로그램을 보급해 연중 운영한다. 초·중학교에 학교 자율시간, 자유학기를 통한 체험형 식생활 교육을 지원한다.사회 식생활 교육도 본격 확대한다. 1인 가구 증가·고령화 등에 대응해 개발한 대상별 맞춤형 콘텐츠를 지역 거점 교육기관에서의 집합 교육, 찾아가는 교육, 원격·사이버 교육 등을 통해 확산할 예정이다. 취약계층을 대상으로는 올해부터 전국에서 실시되는 농식품 바우처 사업과 연계하여 맞춤형 식생활 개선 교육을 추진한다.식생활 교육의 방식을 기존의 일회성 체험에서 식품의 순환 체계를 포괄하는 다회차 교육으로 전환한다. 농식품부는 농업·농촌 체험, 영양 교육, 조리 실습, 환경 교육 등을 연속적으로 제공한다.이를 위해 우수 농촌 식생활 체험공간을 생산 체험부터 조리 실습까지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공간으로 관리한다. 시설 표준 관리 매뉴얼을 정립하고 체계적인 식생활 교육 커리큘럼 구성을 위한 컨설팅 등도 지원할 계획이다.지역 단위에서는 지역 농산물(로컬푸드)을 활용하는 교육에 중점을 두고 추진한다. 지역 특산물 수확 체험, 지역 식재료를 활용한 영양 교육 등 지역 먹거리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다.지역 단위의 식생활교육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다양한 현장의 교육 수요를 발굴해 맞춤형 교육을 운영할 예정이다. 권역별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공간과 강의 인력을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한다.농식품부가 개발한 교육 자료를 탑재하고 있는 식생활 교육 온라인 플랫폼 '식생활 교실'을 통해 식생활 교육 정보를 통합 제공하고 식생활교육 관계자 간 양방향 소통의 장으로 확장할 계획이다.강사 인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8개 과목으로 구성된 필수 교육과정을 수료하도록 하는 '전문인력 이수제도'를 도입, 운영한다.교육 관계자 간의 협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관계부처·지자체·학교·민간단체·학계 등이 참여하는 '(가칭)식생활교육 협의회'를 구성한다. '식생활교육지원법'에 식생활 체험공간 및 교육기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할 예정이다.홍인기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배달·외식 소비 증가, 영양 불균형 심화, 환경 부담 증가 등 식생활 여건 변화에 대응해 추진체계를 정비할 시점"이라며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강화, 사회 교육 확대, 지역 맞춤형 교육 활성화 등 핵심 과제를 빠짐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