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틱스 비즈니스 모델 창출 목표
-
- ▲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현동진 상무(오른쪽)와 슈프리마 김한철 대표(왼쪽)가 업무협약식 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기아가 보안 시스템 전문기업 슈프리마와 로봇 친화 빌딩 구축을 확대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현대차·기아는 보안 시스템 전문업체 슈프리마와 '로보틱스 및 AI 기반 토탈 보안 솔루션 구축 사업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로봇 친화 빌딩 사업 확대를 위한 기술 개발과 협력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슈프리마는 팩토리얼 성수에서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과 협업해 로봇 친화 빌딩의 검증을 수행한 국내 출입 통제 분야 1위 기업이다.이번 협력은 로봇 및 AI 기술을 결합한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고, 로봇이 건물 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로봇 친화 빌딩 구현은 로봇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건물 내 인프라 관리 기술의 고도화와 이를 로봇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기술이 핵심 요소로 꼽힌다.현대차·기아는 다양한 로보틱스 요소 기술들을 다양한 서비스에 융합해 고객에게 제공하는 '로보틱스 토탈 솔루션'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오피스, 종합병원, 호텔 등 로봇을 필요로 하는 고객에게 검증된 기술과 서비스를 전달한다는 방침이다.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AI와 로보틱스를 융합한 보안 솔루션 개발과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한 신규 보안 서비스 개발 등을 추진한다.현동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상무는 "로봇과 사람이 건물 내 인프라의 제약을 극복하고 편리한 이동과 새로운 공간 서비스를 창출하는 새로운 업계 표준을 만들 것"이라며 "이번 협력으로 로보틱스 토탈 서비스가 기존 정적 물리보안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김한철 슈프리마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로보틱스를 접목한 무인 보안 서비스의 새로운 시대를 열게 됐다"라며 "클라우드, 로봇, AI, 다양한 센서 및 현장 대응 솔루션을 결합한 AI 기반 로봇 친화 빌딩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