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79조원 … 영업익 6.6조원갤럭시S25 흥행 … 시장전망 상회메모리 불황에도 반도체 선방한 듯DS 부문 회복세 … 실적 개선 기대감
-
삼성전자가 지난 1분기 6조 6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 기대치를 넘어선 깜짝 실적을 보여줬다. 아직은 반도체(DS) 사업이 완전히 실적 회복에 나서지는 못하고 있지만 갤럭시S25 시리즈의 판매 호조가 1분기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조 6000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0.15% 감소한 수치고 전분기인 지난해 4분기 대비 1.69% 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당초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이 5조 원을 밑돌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이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낸 것으로 집계되며 우려를 씻었다. 실적 발표가 임박한 지난주 말에는 당초 예상치인 5조 원을 넘겨 5조 3000억 원 안팎의 이익을 기록할 것이란 예상에 힘이 실렸는데, 이마저도 1조 3000억 원 이상 훌쩍 넘긴 기록을 내면서 '어닝 서프라이즈'로 평가된다.매출은 분기 최대 수준에 육박하는 79조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9.84%, 직전 분기 대비 4.24% 증가한 수치다. 분기 최대 매출액은 지난해 3분기 79조 1000억 원이었다.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은 삼성전자의 상반기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인 '갤럭시S25' 시리즈의 판매 호조에 힘 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잠정 실적발표에선 사업부별 세부 실적이 공개되지는 않지만 증권가에선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사업부에서 4조 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을 것으로 본다.지난 2월 출시된 갤럭시S25 시리즈는 역대 갤럭시 시리즈 판매 기록을 갈아치우며 21일 만에 국내에서만 100만 대 판매 기록을 달성했다. MX사업부의 효율적인 원가 운영 전략도 견조한 수익성을 달성하는데 주효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매출은 35조 원을 웃돌았을 가능성이 점쳐진다.시장의 우려보다 높은 이익을 기록할 수 있었던 또 한가지 배경으론 메모리 출하량과 가격이 예상대비 감소폭이 작았다는 점이 꼽힌다. D램 출하량의 경우 당초 한자릿수 후반대 감소가 예상됐지만 전분기 대비 5% 수준 감소하는데 그친 것으로 보이며 낸드도 10% 안팎 수준에서 출하량이 줄어들어 예상보단 수요가 회복세를 나타냈다는 분석이다.무엇보다 메모라 가격 추이가 지난 1분기 긍정적인 시그널을 내면서 2분기 실적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에 앞서 메모리 재고를 비축하려는 수요처가 움직이기 시작했고 중국이 내수 진작을 위해 스마트폰과 PC, IT 기기들을 대상으로 새 기기로 바꾸는데 대한 보조금 지급 정책인 '이구환신'을 시작하면서 메모리 가격 변화를 이끌었다는 해석이 나온다.증권가와 반도체업계에선 당초 예상보다 이른 시점인 올 2분기부터는 D램과 낸드 모두 가격이 상승 전환할 것으로 본다. 이에 따라 2분기 이후부터는 삼성전자 DS부문에서 다시 이익의 상당 부분을 책임지는 구조를 다시 이어갈 가능성이 제기된다.증권가는 이 같은 분위기에 따라 올해 삼성전자 메모리 사업 이익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지난해 대비 35% 안팎 성장해 메모리에서만 25조 원 수준의 이익을 낼 것이라는게 새로운 전망이다. 이에 힘 입어 전사 영업이익도 36조 5000억 원 수준으로 다시 올라설 것으로 본다.메모리 실적을 끌어올릴 핵심으로 꼽히는 HBM(고대역폭메모리) 공급 개시 여부도 앞으로 삼성전자 실적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AI(인공지능)반도체 시장 절대자인 미국 엔비디아에 5세대 HBM인 'HBM3E' 공급을 위한 절차를 밟는 과정 중이다. 업계에선 공급 확정을 짓는 시점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지만 이르면 2분기, 늦어도 올 가을까지는 퀄테스트(품질 검증)를 마치고 공급 준비를 시작할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