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 만의 해외 원전 수출 … 오는 7일 본계약 쳬결한국형 원전, 유럽 시장 첫 진출고사 위기 원전 윤 정부서 수출 산업으로 부활
-
- ▲ 체코 두코바니 원전. ⓒ한국수력원자력
체코 원전 수주가 공식화되면서 윤석열 정부의 원전 부활 정책이 마지막 결실을 맺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오는 7일 체코 정부와 26조원 규모의 신규 원전 건설 본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이후 16년 만의 해외 수출이자 유럽 원전 시장 첫 진출이라는 점에서 산업적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체코 정부는 전날(현지시간 4월30일) 각료회의를 열고 남부 두코바니 지역 신규 원전 2기 건설 예산을 승인했다.
이로써 지난해 7월 한수원이 미국 웨스팅하우스, 프랑스 전력공사(EDF)를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지 약 10개월 만에 수주가 확정된 셈이다. 계약 체결 후 공사는 오는 2034년 준공을 목표로 본격화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체코 프라하에서 남쪽으로 220km 떨어진 두코바니 지역에 1000㎿급 가압경수로(PWR) 2기를 건설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체코 정부는 총 4000억 코루나(약 26조2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며 향후 테멜린 지역 원전 2기 신설 사업까지 감안할 경우 최대 4기 수출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이번 체코 수주는 단일 건으로는 UAE 바라카 원전 이후 최대 규모이자 한국 원전이 중동을 넘어 유럽으로 수출 영역을 넓혔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한수원의 기술력, 공급망 관리 역량, 한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글로벌 경쟁에서 승기를 잡았다는 분석이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체코 신규 원전 본계약 체결이 확정된 만큼, 성공적인 이행과 적기 준공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체코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신뢰를 바탕으로 한 에너지 파트너십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도 "양국은 체결식 개최 계획 등을 협의하고 있다"면서 "성공적인 체결식 개최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 산업은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한때 고사 위기를 겪었다. 문재인 정부는 2017년 취임 직후 신규 원전 6기 건설을 백지화하며 탈원전 기조를 공식화했고 이로 인해 핵심 인력 이탈, 산업 생태계 위축, 기술 유출 우려 등이 제기됐다. 신한울 1·2호기는 완공 후 수년간 상업운전 승인을 받지 못하면서 국내 원전 산업의 정체를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분석에 따르면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직접 피해액은 2030년까지 최대 47조4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2017~2022년 사이 원전 산업 매출은 41.8%, 종사자 수는 18.2% 감소했다.반면 윤석열 정부는 출범 직후 탈원전 정책 폐기를 선언하고 원전 생태계 복원과 수출 확대를 국정과제로 제시했다.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 2027년까지 원전 설비 수출 10조원 달성을 목표로 전방위적 정책 지원과 함께 대통령이 직접 원전 세일즈에 나서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다.에너지업계에선 이번 체코 수주를 계기로 한국 원전 수출의 지형이 중동에서 유럽으로 본격 확장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원전 시장이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움직임이고 정부 정책도 뒷받침이 이어진다면 향후 해외 수출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