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성장률 세계 꼴찌, 전망은 한 달 새 반토막 … "연 1%도 위태"한은도 하향 불가피, '저성장 고착화' 현실화 … 정치 혼란 경제 발목
  • ▲ ⓒ챗GPT
    ▲ ⓒ챗GPT
    한국경제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주요 19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한 데다 주요 투자은행(IB)들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가 한 달 새 반토막 나는 등 한국경제에 '혹한의 겨울'이 닥치고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정권 교체기를 맞아 정치 리더십은 공백 상태고,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내수 부진과 건설 침체 등 복합 위기가 겹치면서 올해 1%대 성장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반 토막 난 성장률 전망 … “0%대도 각오해야”, 장기 침체 본격화

    11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BOA(뱅크오브아메리카)·씨티·골드만삭스·JP모건 등 해외 주요 투자은행(IB) 8곳의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 평균 전망치는 0.8%로 불과 한 달 전(1.4%)보다 0.6%포인트 급락했다.

    전체 8곳 중 6곳은 1% 미만, 나머지 2곳도 1% 턱걸이 전망을 제시하며 모두 한은 전망치(1.5%)를 밑돌았다.

    시장에서는 “이제 1%도 낙관적 수치”라는 말까지 나온다. 블룸버그 집계 기준 올해 한국의 평균 성장률 전망은 1.31%로 지난달 조사(1.41%)결과 보다 떨어졌고, 42개 국내외 기관 중 28곳이 한국은행(1.5%)보다 낮은 수치를 제시했다. 

    이는 단순한 일시적 하향 조정이 아니라, 구조적 저성장 국면 진입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무게감이 크다.

    내년 성장률 전망도 평균 1.6%로, 한은의 기존 예상(1.8%)을 밑돌았다. BOA는 내년 성장률을 무려 0.7%포인트 낮춰 1.3%로 전망, 씨티·HSBC 등도 줄줄이 하향 조정했다.

    경제 리더십 부재와 미중 갈등, 글로벌 금리 고점 장기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특히 미국이 하반기부터 한국 수출산업을 직접 겨냥한 관세 정책을 본격 시행할 경우 하반기 성장률은 더 내려앉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세계 꼴찌 굴욕 韓, 1분기 –0.246% '역성장’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한국 경제성장률은 전기 대비 -0.246%, 세계 19개국 중 꼴찌다.

    심지어 미국(-0.069%), 헝가리(-0.152%)보다도 낮았다.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스페인(0.568%), 캐나다(0.4%), 독일(0.211%) 등 선진국과는 격차가 뚜렷하다.

    더 심각한 점은 지난해 2분기부터 1년 넘게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1분기 1.3%로 선전한 이후 2분기엔 -0.228%로 급락했고, 3분기엔 0.1%, 4분기엔 0.066%로 사실상 정체 상태였다. 올해 1분기마저 뒷걸음치며 ‘마이너스의 늪’에 빠진 셈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내수 부진을 주원인으로 꼽는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민간 소비는 가계부채와 고물가에 억눌리고, 건설은 고금리 여파로 침체 상태”라며 “미국 관세 충격까지 더해지면 하반기 회복도 장담 못 한다”고 했다.

    ◇한은도 전망 하향 예고 … “추경 없이 1% 달성 불가능” 

    올해 1% 성장을 하려면 남은 분기마다 0.4~0.45% 수준의 성장이 필요하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소비와 건설 침체가 한국 경제의 가장 큰 고질병”이라며 “민간 소비가 마이너스 성장(-0.1%)을 기록한 상황에서 올해 연간 1%라도 달성하려면 나머지 3개 분기 모두 평균 0.4~0.45% 이상 성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고금리·고물가·가계부채 부담 등으로 민간 소비 회복 여지가 작고, 건설투자도 반등 가능성이 작다.

    그는 “12조원 규모 추경이 있어도 성장률 제고 효과는 0.1%포인트에 불과하다”며 “2차 추경과 금리 인하 효과가 겹쳐야 겨우 하반기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5일(현지시간) “성장률을 내려야 할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가 ‘성장보다 정권에 휘둘리는 구조’로 접어들었다고 경고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 시기야말로 국정 리더십과 일관된 정책 대응이 절실하다"며 “수출과 내수 모두 부진한 와중에 정책 신뢰마저 흔들리면 저성장 고착화는 현실이 될 것”이라고 했다.